도민에게 실리, 행정조직에는 효율성을! 박정렬 정치부 부장 광남일보@gwangnam.co.kr |
2023년 03월 19일(일) 17:32 |
전남도청이 서부권인 무안군 남악신도시에 위치하면서 거리상 불편함을 겪어야 했던 동부권 주민들에게 보다 확대된 행정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됐다는 점에서는 환영 할 만 하지만, 전남도 행정조직이 크게 분리되면서 행정 효율성 면에서는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계획대로라면 동부권 통합청사가 개청할 경우 현재 120여 명인 근무 인원이 300여 명으로 규모가 대폭 커진다.
도청 내에서는 어느 부서가, 누가 가게 될지를 놓고 불안감, 초조함이 내비친다.
전남도의회에서도 규모 확대·축소를 놓고 의견이 나뉘고 있다. 동부권 도의원들의 경우 ‘동부권 소외’를 내세우며 이전 부서와 인원을 더 늘릴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일부 도의원은 2청사가 있는 경기도와 달리 전남도는 인구수, 시·군 숫자, 거리 등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적어 통합청사를 개청하더라도 규모의 최소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경제·관광 등 전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동부권의 위상에 걸맞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침체돼 있는 서부권에 도청이 자리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생각한다면 도청 조직의 분할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규모면에서 보면 당초 계획대로 동부권에 흩어져 있는 도 산하기관들을 입주하도록 하고, 구색 맞추기가 아닌 현재 동부권에 부족한 조직을 이전하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도민의 민원 불편 해소 측면을 생각하면 답은 명확해진다. 부서 몇 개, 공무원 몇 명이 더 간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행정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해 어느 지역에서든 도청을 찾지 않아도 동일한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다.
여수가 고향인 후배의 말이 생각난다. “공무원 숫자 늘어난다고 뭐가 달라 진다요. 일자리 늘리고, 돈 벌 수 있게 기업 유치하는 게 중요하지.” 동부권 소외 운운은 정치적 수사에 그칠 뿐, 일반 주민들은 실리를 원한다는 것이다.
도민에게는 실리를, 행정조직에는 효율성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