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수출기업 88%, 美관세 부정 영향 우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의견조사/
‘시장경쟁력 하락 따른 매출 감소’ 최대 애로
FTA 재협상·물류비 등 정부 정책지원 요구도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2025년 03월 27일(목) 15:31
광주상공회의소 전경
광주지역 수출기업 10곳 중 8곳이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에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광주FTA통상진흥센터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지원정책 의견을 파악하고자 지역 수출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관련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지원정책 의견 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지역 수출기업이 트럼프 2기 관세부과 방침 중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항목과 관련해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대상 25% 관세 부과’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3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 부과 및 소액 면세 제도 혜택 박탈(30.9%)’,‘철강·알루미늄 제품 대상 25% 추가 관세부과(24.5%)’,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 대상 25% 관세 부과(10.6%)’에 대한 영향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응답기업의 88.0%가 관세부과가 본격화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영향이 없거나 긍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12.0%에 불과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시장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7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외에 ‘국내·외 거래처와의 교역 조건 악화(35.6%)’, ‘국내 원청기업의 현지생산 이전·확대에 따른 주문량 감소(23.3%)’, ‘해외 거래처의 거래선 변경(14.4%)’ 등도 우려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한 지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을 조사한 결과 55.0%가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응답했으며 ‘원가절감 및 긴축경영 돌입(21.0%)’, ‘대체시장 발굴(7.0%)’, ‘내수비중 확대(6.0%)’,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4.0%)’ 등이 뒤를 이었다.

트럼프 정부 관세 대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지원 과제에 대해서는 ‘한-미 FTA의 재협상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바라는 응답자가 39.0%로 가장 많았다. ‘물류·통관비 지원(23.0%)’, ‘자금 지원(21.0%)’, ‘정부의 R&D 투자(9.0%)’, ‘신흥 유망시장 개척 지원(6.0%)’ 등 지원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잇따랐다.

트럼프 관세정책 전개에 따른 어려움 극복을 위해 FTA센터에 희망하는 지원과제로는 ‘수출입통관 애로 지원(39.2%)’ 요구가 가장 많았다. 또 ‘한-미 FTA 관세 혜택 활용 컨설팅(36.1%)’, ‘신흥 유망시장 개척 및 정보 제공(24.7%)’,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정책 대응 교육(21.6%)’ 등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관계자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으로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경영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며 “기업들이 관세부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통관애로 지원과 FTA활용 컨설팅은 물론,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교육·정보제공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3057064503536015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02일 06:3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