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수출기업 88%, 美관세 부정 영향 우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의견조사/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
2025년 03월 27일(목) 15:31 |
![]() |
광주상공회의소 전경 |
27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광주FTA통상진흥센터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지원정책 의견을 파악하고자 지역 수출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관련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지원정책 의견 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지역 수출기업이 트럼프 2기 관세부과 방침 중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항목과 관련해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대상 25% 관세 부과’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3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 부과 및 소액 면세 제도 혜택 박탈(30.9%)’,‘철강·알루미늄 제품 대상 25% 추가 관세부과(24.5%)’,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 대상 25% 관세 부과(10.6%)’에 대한 영향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응답기업의 88.0%가 관세부과가 본격화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영향이 없거나 긍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12.0%에 불과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시장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7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외에 ‘국내·외 거래처와의 교역 조건 악화(35.6%)’, ‘국내 원청기업의 현지생산 이전·확대에 따른 주문량 감소(23.3%)’, ‘해외 거래처의 거래선 변경(14.4%)’ 등도 우려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한 지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을 조사한 결과 55.0%가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응답했으며 ‘원가절감 및 긴축경영 돌입(21.0%)’, ‘대체시장 발굴(7.0%)’, ‘내수비중 확대(6.0%)’,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4.0%)’ 등이 뒤를 이었다.
트럼프 정부 관세 대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지원 과제에 대해서는 ‘한-미 FTA의 재협상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바라는 응답자가 39.0%로 가장 많았다. ‘물류·통관비 지원(23.0%)’, ‘자금 지원(21.0%)’, ‘정부의 R&D 투자(9.0%)’, ‘신흥 유망시장 개척 지원(6.0%)’ 등 지원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잇따랐다.
트럼프 관세정책 전개에 따른 어려움 극복을 위해 FTA센터에 희망하는 지원과제로는 ‘수출입통관 애로 지원(39.2%)’ 요구가 가장 많았다. 또 ‘한-미 FTA 관세 혜택 활용 컨설팅(36.1%)’, ‘신흥 유망시장 개척 및 정보 제공(24.7%)’,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정책 대응 교육(21.6%)’ 등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관계자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으로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경영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며 “기업들이 관세부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통관애로 지원과 FTA활용 컨설팅은 물론,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교육·정보제공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