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 4·3 추념식 참석…"더 단단한 민주주의로"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헌화·분향…유족 위로
4·3유족회와 간담회…"4·3 정명 운동 함께 할 것"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2025년 04월 03일(목) 17:00
강기정 광주시장이 3일 오전 제주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헌화·분향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은 제77주년 4·3 희생자 추념일을 맞아 희생자를 추모하고 5·18과 4·3의 평화 연대를 다짐했다.

강 시장은 3일 오전 10시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4·3의 숨결은 역사로, 평화의 물결은 세계로’를 주제로 열린 ‘제77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 유족 등을 위로하고, 헌화·분향했다.

강 시장은 “광주와 제주는 국가폭력에 의해 희생된 아픔의 역사가 있고, 한강 작가는 5·18과 4·3을 다시 한번 이어줬다”며 “4·3의 이름을 찾는 정명(正名)과 철저한 진상규명으로 더 단단한 민주주의,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함께 나아가자”고 밝혔다.

이어 “5·18은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이들이 손을 잡아준 덕분에 인권 평화의 상징으로 보편성을 갖게 됐다”며 “많은 이들이 평화연대를 통해 광주를 민주주의 도시로 꽃피워준 만큼, 이제 광주가 그 고마움을 되돌려드려야 할 때이고, 이는 4·3과의 평화연대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참혹한 아픔인 4·3을 딛고 제주공동체를 이뤄낸 유족들의 노력에 깊은 존경을 표한다”며 “77년이 흘렀음에도, 4·3은 여전히 이름이 없고 생존희생자 등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진상규명,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같은 활동을 통해 4·3에 이름 붙이는 정명이 필요하고 광주는 이를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추념식에 앞서 4·3 희생자인 고 양천종 씨의 딸 양두영 어르신 등을 만나 깊은 위로의 뜻을 전했다. 고 양천종 씨는 광주형무소 옛터에서 75년여 만에 유해가 발굴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이틀 일정으로 제주를 방문한 강 시장은 첫날인 2일 제주 4·3 평화기념관 유족회 사무실에서 ‘한강이 이어준 4·3과 5·18 광주↔제주 동행 간담회’를 열어 ‘평화연대 방안’을 논의했다.

한강 작가 소설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의 배경 사적지 상호 교류 홍보, 국립 트라우마 치유센터 전액 국비 운영 등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책임 강화를 위한 공동 대응, 5·18과 4·3 왜곡·폄훼 공동 대응,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초청 등 교류 활성화 등을 공유했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3667225504174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05일 06:5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