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농식품 바우처 효과 극대화 방안 필요"

전남연구원, 온라인 사용처 활성화·이동형 식품서비스 연계 주문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4월 17일(목) 15:07
JNI이슈리포트
지난달부터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남은 지역민의 식품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바우처 카드의 온라인 사용처 활성화, 이동형 식품서비스 연계 등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해 지역 먹거리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17일 JNI 이슈리포트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 시행에 따른 전남도의 대응 방향’을 발간해,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고, 전남의 지속가능한 농식품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농식품 바우처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보장을 위해 식품 구매를 지원하는 제도로, 지원 대상은 생계급여 수급가구 중 임산부 및 영유아 아동(만 18세 이하)이 포함된 가구다. 수혜자는 가구원 수에 따라 일정 금액이 충전된 바우처 카드를 제공받고, 지정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국산 신선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는 시범사업을 통해 영양 개선 효과가 입증된 바 있는 데,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8기(2019~2021)’ 원시자료에 따르면, 바우처 지급으로 권장량 대비 평균 영양 섭취율이 4.4% 향상됐고, 특히 철분, 단백질, 비타민B군은 5~6%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농축산물 소비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를 통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886억여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97억여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중 전남은 77억여원의 생산유발효과와 31억여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남은 농식품 바우처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농협몰 등 온라인 사용처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무료 배달을 위한 최소 결제 금액을 낮춰 바우처 활용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연구원은 농촌지역은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해 오프라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동형 식품서비스를 연계해 식품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전남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과 전남도 이동형 식품서비스 시범사업을 연계하고, 바우처 대상 품목을 3종 이상 구매할 수 있는 이동장터를 운영해 실질적인 접근성 개선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지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농식품 바우처 지원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처의 접근성 개선과 함께 지역산업 및 정책과의 연계가 확대돼야 한다”며, “전남은 농릭축산식품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식생활 교육을 적극 활용하되, 영양상담, 로컬푸드를 연계한 지자체 자율의 식생활교육사업 추진을 통해 국민 영양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4870027505269010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20일 00:0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