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수당 효과 있네…6·3 대선 투표관리관 ‘인기’

광주시선관위, 시·자치구 등에 454명 모집 공문 발송
지원자 처우개선…업무부담 적은 ‘대선 특수’ 영향도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
2025년 04월 17일(목) 18:05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해 청사 대회의실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사전투표관리관·장비담당사무원 사전투표관리 교육을 실시했다.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가 오는 6·3대통령선거 선거사무원을 모집하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들이 지원하는 투표관리관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17일 광주선관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을 오는 6월 3일로 확정하고, 사전 투표일을 5월 29~30일로 정했다.

본격적인 선거 일정이 시작되자 광주시선관위는 투표관리관(6~7급) 규모를 454명(사전투표 96명·선거일 358명)으로 정한 뒤 광주시, 5개 자치구 등에 모집 공문을 발송했다.

투표관리관의 임무는 △출력한 선거인명부 및 투표용지 수령·보관·관리 △투표관리 장비·용품 등의 수령 및 투표소 설비 △투표사무원·투표안내요원 업무분담교육 △투표개시·진행 등 투표사무관리 △투표함 등 투표관계서류의 개표소 인계 등은 물론 선거 방해, 사고 발생 등 만일의 사태까지 대비해야 한다.

여기에 오후 6시에 투표가 종료됐던 지방선거·총선과 달리 대선은 2시간 늘어난 오후 8시까지 이뤄진다.

특히 해당 선거소에서 이뤄지는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직책이다 보니 지원을 꺼려 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최근 광주 일선 자치구가 투표관리관 희망자를 모집한 결과 이전과는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실제 광주 북구에 배정된 투표관리관(사전·선거일)은 163명인데 신청 인원은 14명이나 초과했다. 신청자가 4명인 과(국)가 4곳 이상이었고, 5명인 부서도 있었다.

광주 남구 주월2동 동주민센터(1명 위촉)에서는 복수의 지원자가 희망, 선배가 후배에게 양보하는 모습이 이어지기도 했다.

광산구 임곡, 동곡, 삼도, 본량 동주민센터를 희망하는 투표관리관에도 많은 신청이 잇따랐다.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해 청사 대회의실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사전투표관리관·장비담당사무원 사전투표관리 교육을 실시했다.


자치구 한 공무원(6급)은 “솔직히 이전까지는 ‘이걸 왜 해야 하나’라는 회의적인 생각이었지만, 최근 수당이 꽤 오른 데다 휴가까지 부여되자 직원들의 관심이 커졌다”면서 “40만원부터 70만원까지 수당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투표관리관에 대한 인식이 변했다”고 말했다.

최근 휴가 지급, 수당·식비 인상 등 처우 개선이 이뤄지면서 선거사무에 대한 호응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지방공무원 복무규정’과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을 일부 개정, 선거일(사전투표일 포함)에 투표관리관, 투표사무원, 개표사무원으로 위촉돼 선거사무에 종사하면 1일의 휴무를, 선거사무 종사일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1일의 휴무를 추가해 총 2일을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투표관리관의 수당도 제20대 대선(22년·16만원), 제22대 총선(24년·19만원) 등으로 올랐다. 이번 대선 당일에 투입되는 투표관리관에게는 2만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지난해 7000원이었던 식대도 물가상승을 고려해 9000원으로 올렸다.

여기에 대선이라는 특수성도 작용하고 있다. 투표용지가 1장인 데다 비례대표 후보도 없는 등 비교적 업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 것도 인기 요인이다.

자치구 관계자는 “휴식권 보장과 처우 개선으로 이전과는 확실히 모집 분위기가 달라졌고, 직원들의 호응도 역시 높다”고 말했다.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         임영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4880718505322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20일 0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