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재 도전

벌교갯벌·득량만·보성강·주암호 등 생태축 연결
7월 31일까지 최종 신청서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

보성=임태형 기자 limth66@gwangnam.co.kr
2025년 04월 27일(일) 17:56
득량만
문덕교
벌교 여자만 습지
보성만 갯벌
보성군이 벌교갯벌과 득량만 해역, 보성강, 주암호를 하나의 생태축으로 연결해 군 전역을 대상으로 ‘2026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재에 도전한다.

27일 보성군에 따르면 ‘생물권보전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를 가진 지역 중 지역 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곳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과 함께 유네스코 3대 자연보전제도 중 하나로, 보존과 발전, 지원을 조화롭게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군은 군 전역을 벌교갯벌, 득량만 해역, 보성강 및 주암호 등 총 3개 권역으로 구분해 생태환경, 역사·문화, 지역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구체적 관리 방안을 수립했다.

핵심구역은 △습지보호지역 △수산자원보호구역 △환경보전해역(해양부)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상수원 보호구역 △야생동물 보호구역 등 법적 보호를 받는 지역으로 지정했다.

완충구역은 핵심구역을 둘러싼 △주암호 수변구역 △친환경 농업 생산 지역(국가중요농업유산인 보성차밭 핵심지역) △내륙부 환경보전해역 등으로 설정해 핵심 생태계를 보호하고, 친환경적 이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협력구역은 핵심구역과 완충구역 외의 지역으로 지역 사회와 기업, 주민이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군은 등재를 위해 철저하고 단계적인 절차를 밟아왔다. 지난해 4월 ‘유네스코 MAB 한국위원회‘ 회의에서 예비 신청서를 심사한 결과, ‘다양한 생태·문화 유산 기반 위에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요건을 충분히 갖췄다’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같은해 9월 국문본 신청서를 제출하고, 12월에는 유네스코 MAB 한국위원회 현지 실사 및 보완을 완료했다.

군은 오는 7월 31일까지 생물권보전지역 등재를 위한 국문·영문 최종 신청서를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철우 군수는 “벌교갯벌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에 이어 보성군 전역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다면 청정 보성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성=임태형 기자 limth66@gwangnam.co.kr         보성=임태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5744207505998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29일 02:4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