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실증을 통한 기업과 도시의 동반 성장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광남일보@gwangnam.co.kr
2025년 05월 13일(화) 14:40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실증은 기술 상용화의 중요한 단계로서 기술의 성능과 안정성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시장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기업은 실증을 통해서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투자 유치와 시장 진입 전략을 강화해 나간다.

실증의 목적은 기술의 혁신을 산업의 혁신으로 연계하기 위해 기술 연구개발 성과를 검증하는 데 있으며, 실증 과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술을 개선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기술 검증 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기술의 실용성을 확인하는 것과 시장의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실증은 기술 사용자의 참여와 수요를 끌어내 신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고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증의 사회적 가치창출이 강조되면서 시민에게 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공공부문 실증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실증으로 투자와 자본을 끌어들이고 도시를 홍보하는 등 지역의 경제적 잠재력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성숙도(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측면에서 실증은 현실 검증·성능 확인, 제품 개선, 시장 적합성 평가, 신뢰성 확보, 규제 준수 및 인증, 파트너십 및 투자유치, 고객 피드백 반영 측면에서 꼭 필요한 과정이다. 기술성숙도 단계는 1~9단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TRL 5~7단계에 해당하는 수준의 기업에 대한 실증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 환경 또는 실제와 비슷한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는 실증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신기술의 사용을 보장하는 도시의 테스트베드 역할 또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광주지역 곳곳에서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기술을 실증할 수 있도록 도시 전체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고 있다. 광주지역에는 공공업무시설, 편의시설, 공원, 주차장, 체육시설 등 공공 실증자원이 3300여개가 있다. 공공 인프라 조사로 실증자원을 목록화해 기업이 실증을 요청할 때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

지난해 광주연구원에서는 2023년에 광주에서 실증을 진행한 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인터뷰를 실시한 바 있다. 실증지원 수혜기업은 실증장소 제공 그 자체만으로도 만족도가 높고, 실증의 기회가 현장에서 주어진다는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했다. 실증 데이터를 축적하고,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개선점을 발견해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했다는 것이다.

수혜기업 간 기술 및 서비스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신사업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에 활용하려는 니즈도 나타났다.

다만, 한 번의 실증으로 끝나지 않고 회차를 거듭해서 오랫동안 실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를 원했고, 수혜기업이 모여 성과를 공유할 수 있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행사의 필요성과 실증을 위해서는 전기, 통신, 시설물 관련 여러 기관과 협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전 협조, 동행 등 지자체의 관심과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업들이 광주 시민의 삶 가까운 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혁신기술 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시민이 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평가하면서 기업은 실증 실적을 확보하고 보다 개선된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광주는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넘어 기업과 도시가 같이 성장하는 도시 모델을 목표로 해, 인공지능 기술 중심의 실증경쟁력이 기업경쟁력으로, 그리고 도시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도시환경(시민의 삶) 속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실증 과정에서 활용해 도시 지능을 구현하는 것에 실증사업의 의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공공 인프라 개방으로 혁신제품과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공공구매를 확대해 초기 시장을 형성시켜 기술기업의 성장과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실증이 결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결돼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신사업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와 문화가 토대를 제공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AI도시, 창업도시, 실증도시 광주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가고 있다.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7114818507101129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22: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