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세평]뇌졸중(중풍) 후유증에 대한 한의학 치료

임규훈 약샘한의원 원장

광남일보@gwangnam.co.kr
2025년 05월 14일(수) 18:14
임규훈 약샘한의원 원장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이 터지면서 뇌에 손상으로 인해 편측 마비, 언어장애, 의식 장애 등의 신경학적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혈관이 터지면서 뇌에 손상이 생기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크게 나눈다.

중풍은 이런 질환들에 대해서 예전부터 한의학에서 사용하던 용어다.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의 약 87%를 차지하며 혈전성, 색전성으로 나뉜다.

혈전성은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면서 혈관이 점점 좁아지는 경우를 말하며 색전성은 다른 기관의 혈관에서 생긴 혈전 등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을 막은 경우를 말한다.

추가적으로 열공성이 있는데 이 경우는 뇌의 작은 혈관을 막는 경우로 대체적으로는 병변의 크기는 크지 않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면서 오는 경우로 발생한 지 1개월이 되었을 때 35~52%의 사망률을 보이는 심각한 질환이다. 출혈성 뇌졸중은 발생부위에 따라서 지주막하 출혈, 뇌내 출혈로 나눈다.

두 질환 모두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시간 안에 종합병원의 응급실로 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그 외에 일과성 허혈발작이라고 불리는 질환이 있다. 이 경우는 일시적으로 뇌혈류 부진으로 뇌졸중과 똑같은 증상이 발생했다가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완전히 소실된다.

이런 경우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사인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뇌졸중의 증상은 갑작스럽게 한쪽으로 마비가 옵니다. 한쪽 팔, 다리가 마비가 오고 힘이 빠지거나 저리거나 감각이 없어질 수 있다.

말이 어눌해지거나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하나의 물건이 두 개로 보이기도 하고 시야가 반만 보이기도 한다. 심한 어지럼증이나 심한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경우 보통 119를 부르거나 급하게 종합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를 받아 증상이 모두 없어지면 모두가 행복한 상황이 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후유증이 남는다.

예상되는 후유증은 다음과 같다. 한쪽 팔다리 마비 및 근육강직, 한쪽 팔다리 감각저하 및 통증, 시야장애, 언어장애, 삼킴곤란, 인지장애 등이다.

그러면 이제부터는 재활의 시간이 시작된다.

재활 시작 시기는 환자를 본 의료진이 판단하겠지만 허혈성 뇌졸중 환자는 치료(수술 또는 중재술) 이후 3일 이내, 출혈성 뇌졸중 환자는 내과적으로 안정된 후 약 2주 내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재활의 가장 중요한 시기는 첫 3개월, 좀 더 확장하면 첫 6개월까지를 중요한 시기로 본다.

이 뇌졸중 재활 치료 시기에 있어서 한의 치료가 장점을 가지는 부분이 있는데 논문 등을 통해 근거가 제시된 부분들을 소개해 본다.

먼저 중풍 후유증기 환자의 정신을 증상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황련해독탕, 조등산, 전신기능 개선과 자립도 개선을 목적으로 당귀작약산, 여러 가지 수반 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팔미지황환을 추천한다.

중풍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게는 두침이나 체침 혈위에 전침을 병행하는 것이 고려되며 중풍 실어증 환자에게 두침 치료가 바람직하다.

중풍 재활을 목적으로 침치료, 전침치료, 텐스를, 중풍 후 운동 기능의 회복을 목적으로 침 치료를 권장한다.

또 중풍후 경직성 마비 환자들과 중풍후 인지기능 회복과 일상 생활 동작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침치료가 권장된다.

중풍후 배뇨,배변 장애 환자에게 침,뜸 치료가, 중풍후 우울 경향 환자에게 침, 뜸 치료, 한약 치료 등을 추천한다.

중풍 환자 재활 치료에 있어서 양·한방 어떤 치료도 환자를 이전의 상태로 완벽하게 회복시키는 기적을 아직까지는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중풍 환자들은 재활 치료 기간 동안 분노, 조급함, 지루함, 낙담 등의 여러 감정을 가지고 치료에 임해야 한다.

그래서 이 기간 동안 제일 중요한 것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 일희일비하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노력하는 것이다.

이 인내심이 중풍 재활기에 있는 환자분을 가장 좋은 치료로 안내할 겁니다.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7214065507262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5일 07:2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