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국립 의대 신설’ 이번에 반드시 풀어야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2025년 05월 27일(화) 18:40
전남도에 있어서 국립 의과대학 설립은 최대 숙원사업이다. 서울 8곳, 강원·부산·대구(각각 4곳), 경기·충남(각각 3곳), 인천·대전·전북·광주·충북(각각 2곳), 경북·울산·경남·제주(각각 1곳) 등 전국 각지에 의대가 40곳이나 있는데 유독 전남에만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인접한 광주에 전남대·조선대의대와 대학병원이 있긴 하지만 서남, 동남 지역에서 이동시 1시간 이상 소요된다. 이 때문에 지역 중증 환자들은 타 지역으로 원정진료를 다니고 있고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 이송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사망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까지 제기돼 왔다. 즉, 취약한 의료환경 개선이 전남도의 당면과제였던 것이다..

전남 국립의대 설립 요구는 지난 1990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국립 목포대가 정부에 첫 건의를 했고, 2007년 대선 공약으로 채택까지 됐으나 무산됐다. 국립 순천대도 1996년 의대 설립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2008년에는 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의대 유치에 나섰지만 역시 지지부진했다. 그렇게 멀어져만 가던 전남 국립의대 설립이 지난해에는 가시화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전남권 의대 신설을 약속한 뒤 ‘의대 설립 대학을 정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따라 정부의 1도(道) 1국립대 정책에 부합하는 목포대와 순천대의 대학 통합까지 이끌어 내는 등 2026년 통합의대 개교를 목표로 행정 절차를 순조롭게 밟아온 것이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 탄핵 후 2026년 의대 정원이 2024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되면서 전남권 의대 신설은 또 다시 무산된 상태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전남도와 목포대·순천대 등 양 대학이 또 다시 전남 국립의대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양 대학 부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순천시·목포시 부시장, 지역 의료기관장 등 각계 인사가 대거 포함된 ‘통합의과대학 설립 공동준비위원회’를 최근 공식 출범시킨 것이다.공동준비위는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전략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전남도는 공동준비위를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전략 컨트롤타워로 삼아 정부와 국회를 대상으로 한 정책 건의 및 여론 형성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최우선 공약으로 ‘전남 국립 의대 신설’이 반영된 만큼 이번에는 전남도의 오랜 숙원이 순조롭게 해결되기를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8338855508324041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9일 07:2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