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여수형 기본소득 모델’ 구축

연구용역 진행…정책 실현 가능성·전략 등 모색

여수=송원근 기자 swg3318@gwangnam.co.kr
2025년 07월 08일(화) 09:38
여수시는 최근 시청 회의실에서 ‘여수형 기본소득(사회) 모델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여수시는 최근 시청 회의실에서 ‘여수형 기본소득(사회) 모델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인구 감소 등 지방이 당면한 위기 속에서 지자체가 주도하는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과 재원 조달 방안 등을 마련하는 연구다.

보고회에는 정기명 시장을 비롯해 시도 의원들과 지역구 국회의원 관계자, 여수시 정책기획자문위원회, 관계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간보고와 질의응답 및 제안, 의견수렴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용역을 수행한 연구기관은 중간보고에서 기후&에너지 연계형 통합기후배당, 청년기본소득 ‘섬섬 청년소득(가칭)’, 도서지역 수요응답형(DRT) 교통 체계 구축, 모바일 기반 노인 통합 돌봄 시스템 마련, 여수국가산단 폐열 활용 지역난방, 시민 금융주치의 제도 도입 등 8개 기본사회 모델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실행 전략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지속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 등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여수형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전문가 검토와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향후 중앙정부의 제도 개선 및 국비 지원을 이끌어낼 구체적인 건의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정기명 시장은 “기본사회 실현은 지방도시에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며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모델을 마련해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여수=송원근 기자 swg3318@gwangnam.co.kr         여수=송원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1935083511694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9일 03:3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