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돌아오지만…학사 정상화 과제 산적

전남대·조선대 학년말 유급 처리…본과생 절반 대상
24·25·26학번 다 함께 수업 우려…"후속 대책 필요"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2025년 07월 13일(일) 16:50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의대생들이 동맹휴학을 이어간 가운데 한 대학의 텅 빈 의대 강의실 모습.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집단 휴학에 나선 의대생들이 17개월 만에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학사 정상화까지는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학년 말에 있을 유급·제적 처분부터 2024, 2025, 20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 사태까지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서다.

13일 지역 의료·교육계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가 의과대학 교육, 의료체계 정상화에 힘쓰겠다”고 선언했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집단 휴학한 지 17개월 만이다.

의대생 단체의 복귀 선언으로 정부와의 갈등이 풀리는 것 같지만, 일선 대학의 학사 정성화까지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의대생들의 유급·제적 처분 문제가 대표적이다.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의 경우 그동안 수업에 불참해왔던 의대생들의 유급·제적 처분을 학년 말로 연기했다. 유급 대상자에 대한 개별 통보를 마쳤지만, 행정상 공식 처리를 일단 미뤄 놓은 것이다.

두 학교의 수업 참여율을 10%대 수준인 것으로 알려진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지난달 공개한 국립대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살펴보면 전남대 의대는 예과생 89%가 ‘학사경고’ 대상자다. 본과생은 51%가 유급 대상으로 분류된다. 조선대 의대 역시 집단휴학 참여율을 고려하면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정부의 학사 유연화 또는 특례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대학의 설득에도 휴학을 이어온 학생들과 수업을 성실히 참여한 의대생 사이의 형평성 문제가 대두될 수밖에 없다.

의대 학사가 대체로 1년 단위인 점을 감안하면, 1학기 수업 일수가 부족한 학생이 당장 2학기에 복학하기도 쉽지 않다.

행정 절차상 유급을 면하고, 교육 현장으로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트리플링(tripling)’ 사태가 우려된다.

트리플링은 2024, 2025, 2026학번 의대생들이 함께 수업을 듣게 되는 초유의 사태로, 교육의 질이 현저히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또 각 학년 이수 과목의 수업 정원이 초과될 수밖에 없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의대생들의 집단휴학으로 1년 넘게 파행을 겪은 만큼 교육 정상화까지 크고 작은 혼선이 불가피하다는 게 지역 교육계의 입장이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유급 대상 학생들의 학사 문제를 해결하려면 대학 차원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정부와 의대생 단체가 풀어야 할 문제다”며 “트리플링 사태도 우려되는데, 교육을 정상화하기까지 여러 후속 대책들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2393019512119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4일 08: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