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경제동맹으로 지역 소멸 위기 맞선다

[국정과제 반영 지역현안] (5)서남권 메가시티
호남, 산업 기반·도시 경쟁력 취약…유일한 생존 전략
이 대통령, AI·SOC 확충 공약화…메가시티 추진 탄력
행정통합 등 지자체간 양보 필요…정부 전폭적 지원도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7월 14일(월) 18:19
강기정 광주시장이 3월 23일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김영록 전남지사, 김관영 전북지사와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 등을 위한 호남권 3개 시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광주와 전남, 전북을 아우르는 경제적 공동체인 ‘서남권 메가시티(Mega-City)’가 주목 받고 있다.

산업 기반과 도시 경쟁력이 취약한 호남이 수도권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으로 메가시티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약속하면서 지역 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호남권 메가시티’는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호남지역 3개 광역자치단체들이 수도권 대응에 맞서, 광주·전남·전북이 ‘호남’이라는 뿌리를 매개로 경제동맹을 맺어 공존하기 위한 생존 전략이다.

이를 위해 호남권 3개 광역단체는 지난 2004년 12월 광주에서 처음으로 정책협의회를 개최하는 등 타 지역보다 일찍 메가시티를 논의했다. 이후 2017년까지 11번이나 모임을 가졌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민간·군 공항 이전 등의 갈등이 지속되면서다.

이런 가운데 부산·울산·경남(부울경),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등 타 광역자치단체들이 권역별로 메가시티 추진에 속도를 내자, 호남권은 7년이 지난 지난해 부랴부랴 다시 메가시티 구상에 착수했다.

이는 메가시티 조성에 대한 주도권을 타 지역에 내줄 경우, 지역 소멸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부울경은 인구 800만의 동남권을 제2의 국가 성장축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메가시티 플랫폼 구축을 본궤도에 올렸고, 충청권 4개 시·도도 광역협력을 구체화하며 행정안전부로 ‘충정지방정부연합’ 설치를 승인 받았다.

여기에 대구시와 경북도는 행정통합을 통한 (가칭)‘대구경북 특별자치도’를 구축하고, 연말까지 특별법을 제정해 2026년 7월 통합 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행정 통합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행히도 호남지역은 지난 대선 민주당 경선을 거치며 호남권 메가시티의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통합을 시도하면서도 진전을 이루지 못한 호남권 광역단체들은 지난해 경제동맹 형태로 ‘호남권 메가시티’를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최근에는 이를 강화하는 협약까지 맺었다.

광주와 전남, 전북 3개 광역단체가 공동의 목표를 합의한 가운데 ‘메가시티’가 대선 공약 지역균형발전의 핵심 의제로 떠오르면서 사실상 순풍에 돛을 달게 된 셈이다.

특히 인공지능(AI)산업과 SOC 확충이 공약에 담기면서 호남권 메가시티 추진은 가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경선 후보 당시, “수도권 집중을 넘어서기 위한 ‘호남권 메가시티’를 실현하겠다”며 “AI 에너지 산업과 농생명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메가시티, 새로운 호남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에너지 고속도로를 조성해 전국의 주요 산업단지에 재생에너지 전력망을 공급하겠다고 했는데, 앞서 호남권 지자체가 구상한 ‘서남권 에너지 경제공동체’ 구상 등을 구체화해 산업 분야의 미래 먹거리로 제시된 것이다.

여기에 고속도로와 철도 등 SOC 확충도 공약해 호남권 경제동맹의 숙원을 반영했다.

고흥-광주-완주-세종 등을 잇는 서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 호남선·전라선·서해선 고속화 등 교통망 확충 공약이 메가시티의 신경망 역할을 하는 SOC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호남권 메가시티가 타 광역단체 보다 늦게 출발했기 때문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초광역 교통망 확충의 경우 막대한 자본이 들어가는 인프라 사업이다보니 정부의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호남권 광역단체는 타 지역보다 일찍 메가시티 논의에 착수했으나,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성공을 위해서는 광주-전남 군공항 이전이나 전남-전북 서남권 관문 공항 경쟁 등 3개 광역단체와 맞물린 지역 현안을 먼저 해결하는 게 급선무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메가시티는 수도권에 대응해 맞서 살아 남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마지막 보루이다”며 “실질적인 메가시티가 실현되려면 경제공동체에 이어 행정통합까지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지자체 간의 양보와 타협도 중요하지만 정부 지원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2484796512250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5일 02: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