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호남권 재생에너지 계통 정상화 본격 시동

회수한 허수사업자 물량 170.7㎿ 1차 배분…8월 중 전량 공급 완료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7월 30일(수) 16:34
정부가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의 핵심 과제인 계통 병목 해소에 본격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호남권 전력계통 정체 문제 해결을 위해 허수사업자로부터 회수한 421㎿ 가운데 170.7㎿를 우선 실수요 사업자 74개소에 배분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호남권 접속재개 방안’ 발표 이후 이뤄진 첫 실물 공급으로, 그간 중단됐던 접속이 현실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산업부는 이번 1차 공급에 이어 남은 250.3㎿에 대해서도 8월 중순부터 기존 미연계 실수요자 및 신규 사업자 대상 추가 신청을 받아 순차 배분할 예정이다.

우선 다음달 4일부터 14일까지는 발전사업 허가를 보유하고 있으나 계통 접속이 되지 못한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 이후 같은 달 18일 공고에 따라 신규 희망 사업자의 신청 접수도 20일부터 이뤄진다.

계통 접속이 가능한 연계지점과 전압 등 세부 사항은 한국전력의 온라인 접속신청시스템 ‘한전ON’(https://online.kepco.c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산업부는 신청자가 몰릴 경우 전력계통 효율성과 지역 안배 등을 고려해 물량을 조정할 방침이다.

잔여 용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과거 접속 제약으로 참여하지 못했던 소규모 사업자들에게도 개별 안내를 통해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절차를 통해 9월 초까지 회수 물량 421㎿ 전체를 실수요자에게 공급한 뒤, 10월부터 전국 단위의 본격적인 접속 재개에 나설 방침이다. 회수 용량을 단순 재분배하는 수준을 넘어, 계통정책 전반의 체질 개선이 함께 추진되는 셈이다.

한편 산업부는 앞서 지난달, 허수사업자 500여 곳을 정리하고 회수된 물량 중 상당 부분을 실수요자 중심으로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이 중 약 137㎿가 전남지역 사업자에게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 수요 여건과 연계망 수용능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점에서, 정부의 계통운영 정책이 형식적인 절차를 넘어 현장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남을 비롯한 호남권 다수의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은 이번 배분을 통해 사업 중단 위기를 벗어나 다시금 정상화 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장기 표류 중이던 접속 희망 사업자들에게는 이번 공고가 실질적인 ‘기회 창구’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실수요 기반의 접속체계 운영을 강화하고, 지역별 전력망 투자와 수용성 확보를 연계한 정책을 병행해 재생에너지 확산의 제도적 기반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3860884513678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01일 05:2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