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조심히 다녀오세요"…안전을 위한 고언 송대웅 경제부 차장
광남일보 |
2025년 08월 06일(수) 17:02 |
![]() |
송대웅 경제부 차장 |
출근길 현관 앞에서 매일 오가는 이 짧은 인사가 한 가정을 지탱하는 말이라는 사실을, 너무 늦게 깨닫는 경우가 많다.
이재명 정부는 건설현장에서 벌어지는 중대재해에 대해 강력한 처벌 의지를 밝히며 전방위적 안전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무회의를 통해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사회적 타협의 문제가 아닌 ‘국가가 반드시 책임져야 할 과제’로 규정했고, 중대재해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을 주문했다.
현장은 긴장했고, 건설업계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광주·전남 건설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대한건설협회 광주시회와 전남도회는 최근 각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 정책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근로자의 생명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선언과 함께 실질적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다짐했다.
문제는 시스템이다. 안전은 구호나 캠페인으로 되지 않는다. 현장에서 발을 딛는 순간부터 퇴근할 때까지 ‘무사히 돌아가는 일상’이 제도적으로 보장돼야 한다. 형식적인 교육, 보여주기식 점검이 아닌, 실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관리 감독체계, 그에 걸맞은 책임 구조가 필요하다.
지역 건설업계는 사례집 배포, 회원사 교육 확대 등을 통해 안전문화를 확산시키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진짜 중요한 것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구조와 ‘어떤 행동이 바뀌었는가’라는 실천이다.
안전은 인식 개선만으로 되지 않는다. 돈이 들고 시간이 걸려도 현장 설계부터 예산, 작업 일정 전반에 ‘안전’을 최우선 배치해야 한다.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한 해 400명 넘는 건설노동자가 현장에서 목숨을 잃는다.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누군가의 아버지이자 아들, 친구였던 이름들이다. 이재명 정부의 의지가, 지역 건설업계의 다짐이, ‘오늘 하루도 무사히’라는 일상적인 바람을 지켜주는 시스템으로 이어져야 하는 이유다.
“조심히 다녀오세요” 이 인사가 상투적인 말이 아닌, 현실이 되는 사회가 하루 빨리 오길 소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