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청소년 알바친화사업장 33곳은 어디? 근로계약서·최저임금 등 충족 사업장 인증마크·혜택 제공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
2025년 09월 11일(목) 14:46 |
![]() |
광주시는 지난 2017년부터 매년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조건은 24세 이하 청소년을 1년 이상 고용하면서, 근로계약서·최저임금·주휴수당·인격적인 대우 등 5가지 항목을 모두 준수해야 한다.
올해 선정된 사업장은 음식점·카페·편의점 등 청소년들이 주로 근무하는 업종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인증을 받은 사업장에는 인증마크와 함께 상하수도요금, 종량제봉투, 온·오프라인 사업장 홍보 등이 제공된다.
자치구별로 △동구(3곳)는 공차 광주동명점,나리들,컴포즈커피 충장로점 △서구(4곳)는 롯데리아 염주점·풍암점, 미래연, 케이지㈜ 세븐일레븐 광주광천터미널직행점 △남구(2곳)는 유나카츠, 편편집 봉선점 △북구(13곳)는 글로어 전대정문점, 더벤티 전남대점, 메가MGC 전대상대점·광주우산중앙점·전대예대점, 벌크 용봉전철우점, 베스킨라빈스 광주용봉점, 비라이트, 썬베이커리카페 매곡본점, 원기옥 비엔날레점, 청자다방 첨단2지구점, 컴포즈 매곡점, 투썸 광주빛고을여성병원점 △광산구(11곳)는 남쪽마을 돌짜장, 달빛, 더벤티 하남2지구점, 롯데리아 광주첨단점, 맥도날드 산정DT점, 메가MGC커피 광주여대점·송정역점, 버거킹 수완점, 브런치빈 광주수완점, 왕비돈까스, 전라도이야기 첨단점 등이다.
광주시는 이 사업을 통해 청소년들의 노동권을 보호하고, 지역사회 전반에 청소년 친화적 일터 문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계두 노동일자리정책관은 “청소년 알바친화사업장은 청소년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라며 “앞으로도 청소년 노동권 보호와 건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