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청년 6만명 전남 이탈…정책 대전환 시급"

정철 도의원, 청년비전센터 지연·예산 불용 등 지적
농산어촌 유학 사후관리도 부족…실질 대책 마련해야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09월 18일(목) 16:30
최근 5년 동안 전남을 떠난 청년이 무려 6만여명에 달하는 등 전남도의 청년정책이 실효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의회 정철 의원(더불어민주당·장성1)은 18일 열린 제4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청년 유출이 전남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며 청년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지난 5년간 전남 청년 인구가 빠져나간 규모는 6만2597명으로 전남 전체 인구의 3%에 해당하며, 인구 3만 명 미만 도시 두 곳이 사라진 것과 맞먹는다”며 “이 같은 인구 구조 악화에도 도의 청년정책은 실질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 사례로 청년비전센터 건립 지연을 꼽았다.

정 의원은 “전남도가 지방소멸대응기금 400억 원을 투입해 2025년 준공을 약속했지만 착공조차 이뤄지지 않았고, 지난해에만 154억 원이 불용 처리됐다”며 “예산은 매년 편성·이월·불용만 반복되고, 청년과의 소통은 부족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목포시는 이미 유사 기능의 ‘청년쉼터’를 개소했는데, 도와 시·군이 따로 움직이면서 행정 불신과 예산 낭비만 키우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일부 시·군에는 청년센터가 전혀 없고, 운영 중인 센터마저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사실상 형식적인 공간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청년비전센터에 막대한 예산을 쓰기보다 시군 청년센터를 강화했다면 청년 유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농산어촌 유학 정책의 한계도 언급됐다.

정 의원은 “2021년 82명으로 시작한 농산어촌 유학생이 현재 356명까지 늘었고, 가족 동반 이주까지 포함하면 597명이 지역에 들어왔다”며 “청년이자 생활인구로 정착할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도 차원의 지원은 종료돼 거주 시설 부족 등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더 이상 보여주기식 정책은 안 된다”며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전남의 지속 가능성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윤연화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청년 의견을 적극 수렴해 지역 실정에 맞는 청년 공간을 조성하고, 청년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8180625517473002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8일 19:4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