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청년 어려움 제가 젤 책임 커"…정책 의지 강조

서울 마포 소극장서 청년들과 타운홀 미팅
일자리·주거·육아 어려움 경청 의견 수렴해
‘청년 주간’ 연일 청년 고용·주거 등 대책 강조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2025년 09월 19일(금) 21:24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 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
이재명 대통령은 19일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청년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연일 일자리·주거 등에 대한 청년 정책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이 이날 서울 마포구 한 소극장에서 소통·공감 토크콘서트를 열고 청년 150여명을 만나 “청년들의 안타까운 상황은 우리 기성세대들의 잘못”이라며 “제가 제일 책임이 크다. 이제 새롭게 길을 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요즘 청년들과 제가 살아왔던 청년 시절을 비교해 보면 명백하게 요즘 세대들이 훨씬 어려운 상황”이라며 “결정적 차이는 ‘미래가 희망적이냐, 당장의 상황은 나을지 몰라도 내일이 오늘보다 나을 거다, 10년 후 20년 후. 또 내 자식 세대는 나보다 더 나을 것이다라고 믿어지느냐’의 차이 같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겪었던 과거와 달리 지금의 청년들에게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희망이 부족하다는 점에 공감을 표한 것이다.

청년들은 직면한 취업과 주거, 일자리, 결혼·육아 등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고, 이 대통령은 현장에서 청취한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할 것을 약속하며 이를 배석한 정부 관계자들에게 주문하거나, 즉석에서 정책에 대한 찬반을 묻기도 했다.

‘채용 문을 넓혀달라’는 요청에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대기업 회장님들에게 ‘청년들 좀 뽑아달라’고 읍소·부탁했는데 다행히 들어주고 있다”고 이 대통령은 답했다.

이 대통령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을 향해 “이게 지속되려면 기업에 손실이 없어야 한다. (신규 채용 시) 교육 훈련을 기업이 대신해주는 점에 세제 혜택, 경제적 혜택을 줘서 손해 보지 않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할 것 같다”고 주문했다.

복지, 주거 정책 등에 대해서도 정책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다자녀 가구 및 신혼부부, 지역 청년 등에 혜택을 늘려달라는 요청에 “정부 정책 종류가 너무 많고 찾아보려면 머리에 쥐가 날 정도”라며 “예를 들어 육아 지원 정책도 출산 자체에 대한 일시금, 아동수당 등 다양한데 전달 비용이 상당히 많다. 이걸 통합해서 현금 지원을 늘리면 어떻겠나”라고 답했다.

‘공공 주택에 대해 분양보다 임대를 늘려야 한다’는 참석자 의견에는 수용의 뜻을 표했다.

이 대통령은 “이재명 정부가 (공공주택을) 분양하지 않고 임대하더니 빚이 늘었다고 (일각서) 공격할 것”이라며 “분양하면 투기 대상이 된다. 능력 되는 사람들이 집을 살 수 있을 때까지 임대하면 얼마나 좋나”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분양과 임대 중 어떤 방안에 찬성하는지 손을 들어보라고 한 뒤 임대 의견이 더 많자 “정책 전환이 가능할 것 같다. 전에는 ‘임대는 포퓰리즘’이라고 했지만, 바꿀 때가 된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백악관처럼 대통령실도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을 만들어달라’고 하자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부처나 공공기관, 기업엔 권장하면서 대통령실은 못 하고 있다.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극 검토해보라”고 즉석 지시했다.

콘서트를 마치며 이 대통령은 “여러분의 의견과 현장의 문제점을 살펴 정책을 만들어서, 지금보다 나은 세상으로 희망을 만들어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도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은 장기간 누적된 경제 사회적 문제들이 악화되며 빚어진 구조적 위기”라며 “단기 처방을 통해 정책 효능감을 높이고,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각 수석실이 경제·사회와 과학기술 분야의 청년 정책을 발제하자 “‘월세 지원 확대’와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 같은 미시 정책을 추진하면서 또 한편으로 청년의 삶 전반을 포괄하는 근본적 해결책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 임명된 청년담당관들은 구직난·격차·정신건강 문제 등을 직접 지적하며 각각 청년의 관점에서 본 해결 방안을 제시했고, 이 대통령도 “청년의 문제의식과 관점이 정책에 온전히 반영돼야 한다”고 공감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8284647517534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0일 03: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