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자급률 전남·경북 200% 넘는데 광주는 11.9%… 전력 불균형 심화…"분산형 전원 고도화해야"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
2025년 09월 25일(목) 18:25 |
![]() |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기준 전력 자급률은 경북 262.6%, 전남 208.2%, 인천 180.6%, 충남 180.5% 등 발전소가 밀집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주(11.9%), 서울(7.5%), 대전(3.3%) 등은 미진했다.
광주의 경우 같은 기간 발전량이 634GWh에 불과한 반면 판매량은 5348GWh에 달해, 사실상 ‘전기 수입 도시’로 전락한 실정이다. 반대로 전남은 4만1275GWh를 생산하고 1만9826GWh를 소비해 자급률이 200%를 넘는 ‘전력 생산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불균형은 단순한 공급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전력망 구조가 발전소가 몰린 영남·호남권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대규모 송전하는 방식에 의존하면서 초고압 송전선 건설과 유지 비용, 송전 손실, 환경·주민 갈등 등 사회적 비용이 뒤따른다.
전문가들은 해법으로 분산형 전원의 고도화를 제시한다. 분산형 전원은 수요지 인근에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소규모 발전 설비를 설치해 지역 내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구조다.
특히 ICT 기반으로 흩어진 발전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가상발전소(VPP)는 송전 부담을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정부도 분산형 전원 확대를 위해 2024~2028년 5년간 10조2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발전 효율을 높이고 송전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재생에너지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정 의원은 “분산형 전원 고도화는 전력 불균형 해소와 탄소중립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이라며 “지방정부와 산업계가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