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지방선거 누가 뛰나] 함평군수

민주당 후보만 4명…당내 경선전 치열
이상익 3선 가도에 이성일·정정희·조성철 도전장
조국혁신당과 본선 승부…지역현안 해법 내놔야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10월 02일(목) 03:50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함평군수 선거에 도전하는 출마자들의 윤곽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현재까지 출마가 거론되는 인물은 3선에 도전하는 이상익 현 함평군수, 이성일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 특별위원, 이윤행 전 함평군수, 정정희 전 전남도의원, 조성철 더불어민주당 전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 자문위원 등 5명이다. 현직과 전직, 중앙 경험과 지역 정치 경력이 교차하면서 다자 구도가 형성되고, 군민의 표심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다.

가장 주목받는 인물은 단연 이상익 군수다. 2020년 보궐선거에서 첫 당선된 뒤 2022년 재선에 성공하며 내년 선거에서 3선에 도전한다. 두 차례 연속 군정을 맡아온 만큼 ‘연속성과 안정’이라는 프레임을 전면에 내세울 수 있지만, 동시에 지난 임기에 대한 평가가 그대로 표심에 반영되는 만큼 부담 또한 크다. 30주년을 앞둔 나비축제 재도약, 농업·축산 지원 확대, 생활 SOC 개선 등 성과를 강조할 수 있는 반면, 군민 체감 성과 부족이나 논란이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그가 연루된 뇌물수수 의혹 사건 항소심이 오는 10월 말 개시되는 점은 변수로 꼽힌다.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항소심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결과가 선거 구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 내부 구도도 치열하다. 이상익 군수 외에 이성일 특별위원, 정정희 전 도의원, 조성철 전 자문위원의 출마가 유력하면서, 한 지역에서만 네 명의 민주당 주자가 경쟁하는 형세다. 경선이 흥행한다면 본선 경쟁력을 높일 수 있지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은 본선에서 피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성일 특별위원은 출마 선언은 하지 않았지만, 현재 지역민과 물밑 접촉을 강화하는 등 사실상 출마를 기정사실화 하는 분위기다.

전남 함평 출생인 이 특별위원은 국가균형발전위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정책 흐름과 재정 지원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함평 현안을 국가적 차원에서 풀어낼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정희 전 도의원은 광역 의정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현안을 제도화하고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내세우고 있다. 의회 활동에서 다져온 정책 감각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군정 운영의 새로운 동력을 강조하고 있다. 조성철 전 자문위원은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경험을 무기로, 정책 전문성과 중앙 협력 네트워크를 내세우며 지역민과 접촉면을 늘리고 있다.

제3세력의 존재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조국혁신당 소속의 이윤행 전 군수는 과거 함평을 이끌었던 경험을 무기로 출마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군정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행정 조직과 예산 운영에 강점을 어필할 수 있지만, 동시에 재임 시절에 대한 평가와 비판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를 수 있다. 다만 민주당이 사실상 독주하는 지역 구도 속에서 조국혁신당이라는 차별화된 간판은 일정한 표심을 흡수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과거 함평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약진하거나 돌풍을 일으킨 사례가 적지 않아, 민주당 대 제3세력 구도가 본선에서 어떤 효과를 낼지 주목되고 있다.

이번 선거는 2022년 지방선거와 맞닿아 있다. 당시에도 ‘현직 심판론’과 ‘변화론’이 충돌하며 민심이 요동쳤다. 고령화, 인구 감소, 지역경제 침체는 여전히 현재진행형 과제이고, 군민들은 “누가 군정을 안정적으로 이끌면서도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느냐”라는 질문을 다시 던지고 있다. 3선 도전이라는 새로운 변수, 민주당 내부의 치열한 경쟁, 조국혁신당 후보의 존재가 더해지면서 2026년 선거는 과거보다 더 복잡한 양상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

선거 의제 역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인구 소멸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농업·축산업 경쟁력을 어떻게 높일지, 청년이 돌아오고 머무를 수 있는 조건을 어떻게 마련할지, 교육과 복지 인프라를 어떻게 확충할지가 선거 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나비축제와 같은 지역 축제의 재도약, 관광산업 육성, 지속 가능한 재정 운영 방안 역시 군민들이 주목하는 대목이다. 각 후보가 이러한 현안을 자신의 경력과 어떻게 연결 지을지, 공약을 얼마나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제시할지가 당락을 가르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59344622518565003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02일 22: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