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혈세로 용역 발주하고도 ‘쉬쉬’

무등산 케이블카 "사업 추진 타당성 확보" 결과 도출
환경단체 등 반발 여론에 후속 논의는 이어가지 못해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2025년 10월 13일(월) 16:59
광주시의회가 국립공원 무등산에 케이블카 설치 관련 연구 용역을 발주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다.

시의회는 연구 용역을 진행해 경제성이 확보된다는 결과를 도출했지만, 후속 논의는 진척을 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의회는 지난해 말 의원 정책 연구비를 투입해 민간용역회사에 ‘무등산 케이블카 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용역 결과, 무등산 테이블카 조성은 1안 증심사 입구 인근-무등산 장불재(4.8㎞), 2안 지산유원지-무등산 장불재(6㎞) 등으로 압축됐다.

1안은 무등산 관광 인프라인 증심사와 연계가 가능하고 접근성이 용의하고 환경훼손이 최소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문화재 및 자연경관 훼손 등이 우려됐다.

2안은 더 긴 구간을 조성해 풍경 감상이 가능하고 지산유원지 활성화 가능성이 장점으로 꼽혔지만, 구간이 늘어난 만큼 환경훼손 우려를 키우고 설치 비용이 늘어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타당성 분석 결과에서는 케이블카를 설치할 경우 연간 약 52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입장 수익을 94억원 가량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조성사업비(1안 720억원, 2안 900억원) 등을 토대로 30년 운영 기간을 기준으로 분석한 경제성 결과는 편익·비용 비율(B/C)이 1안 1.43, 2안 1.16으로 모두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용역은 지난해 말 진행돼 올해 초에 최종 보고서가 나왔으나, 광주시의회는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환경단체 등의 반발에 후속 논의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마을만들기를 주로 하는 민간용역회사에 케이블카 설치 타당성과 기본계획 수립을 맡긴 데다 노선 선정 배경과 기준도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의회 관계자는 “무등산 케이블카를 두고 찬반 논란이 맞서고 있어서 정책 판단의 근거 중 하나로 삼기 위해 용역을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용역 결과가 사업 추진 타당성이 높게 나왔으나 환경 단체 등 반발 여론에 후속 논의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342367519047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4일 06:5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