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밀 대체’ 가루쌀 확대 정책 한계 봉착

윤석열 정부 매입 2만t 중 13%만 판매…재고 1만8000t
문금주 의원 "소비 중심·지역 순환형 구조로 전환해야"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2025년 10월 14일(화) 16:28
윤석열 정부가 수입밀 대체를 목표로 추진한 ‘가루쌀 확대 정책’이 판매 부진과 재고 누적으로 한계에 봉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산 가루쌀 매입량은 2만704t에 달했으나 지난 8월말 기준 판매량은 2626t으로, 판매율이 12.6%에 그쳤다. 현재 남은 재고는 1만8000t 이상으로,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가루쌀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만큼 소비 확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올해 역시 시장 반응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농식품부가 지난 8월 식품기업과 베이커리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조사에서도 올해 말 예상 소비량은 5300t에 불과했다.

결국 정부는 팔리지 않은 물량 중 1만5000t을 주정용(알코올 원료용)으로 전환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가루쌀의 주요 생산지는 전남·전북·충남 등지에 집중돼 있지만, 실제 소비는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물류비 부담이 크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제품 가격이 높아지고, 소비자 외면이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우려가 제기된다.

농촌진흥청의 ‘2024년 가루쌀 소비촉진 설문조사’에서도 소비자의 62%가 “밀가루보다 가격이 저렴할 때만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소비 확산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지역 내 생산·소비를 연계하던 ‘쌀가루 지역 자립형 소비모델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폐지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지역에서 생산된 가루쌀을 지역 학교 급식이나 로컬베이커리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표적인 소비 기반 강화 사업이었다.

문금주 의원은 “정부가 지역 내 순환 소비를 유도하던 핵심 사업을 중단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필요한 사업은 중단하고, 재고만 쌓이는 보여주기식 매입 정책을 반복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 운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가루쌀은 수입밀 대체와 쌀 과잉생산 해소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 품목”이라며 “생산 중심에서 벗어나 소비 중심, 지역 순환형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426932519163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5일 04:5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