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탑그룹도 회생 신청…해상풍력 차질 우려

실적 악화에 유탑디앤씨·건설·엔지니어링 계열사 3곳 적자 누적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
2025년 10월 14일(화) 16:39
광주·전남지역 중견 건설업체인 유탑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경기 불황의 여파로 유동성 위기에 내몰리면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 회생16부는 전날 유탑그룹 계열사인 유탑디앤씨, 유탑건설, 유탑엔지니어링에 대한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했다.

앞서 유탑디앤씨, 유탑건설, 유탑엔지니어링은 회사재산보전처분 신청서, 포괄적금지명령 신청서 등을 법원에 제출했다. 이중 유탑엔지니어링 측이 제출한 채권자는 금융기관, 건설업체, 법인, 개인 등 103명에 달한다.

해당 재판의 심문은 오는 20일 오후 2시 서울회생법원 303호에서 열린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정식으로 회생 절차를 시작하기 전 당사자의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의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 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할 수 없다는 법원의 명령이다.

유탑그룹은 전국에 주택·호텔·리조트·대형 물류센터 등을 건설해 온 중견기업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호텔, 물류 사업을 강화하며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지만, 건설업계 불황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유탑디앤씨와 유탑건설은 광주 서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유탑엔지니어링은 전남 화순에 위치하고 있다.

유탑디앤씨는 광주를 포함해 전국에서 아파트와 호텔 등을 개발하고 있는데 최근 2년 연속 순손실이 연 100억원을 넘은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유탑디앤씨는 유탑건설이 분양한 농성유탑유블레스 292세대 중 56세대, 화정동 유탑유블레스 520세대 중 75세대와 치평동 유탑부티크&레지던스 일부 객실 등을 위탁 관리하고 있다. 대부분 1억원 미만 소자본 투자자들이 분양받은 85㎡ 이하의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소형 오피스텔이다.

하지만 대외적인 경영환경 악화로 2년간 수익형 부동산 위탁 관리 수익금을 3차례나 연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가구당 35만∼40만원의 월세 중 수수료를 제외한 8월 연체 규모가 2억여원에 달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기준 유탑디앤씨는 2년 연속 적자(당기순손실 2024년 120억원, 2023년 182억원)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유탑디앤씨의 영업활동 현금 흐름은 -21억원, 투자활동 현금 흐름은 -144억원이었다.

유탑건설은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순위 97위의 중견 건설사로, 전국에 주택·호텔·리조트·대형 물류센터 등을 건설했다. 자체 주거브랜드 ‘유탑유블레스’로 유명하다. 현재 광주지역에서 유탑건설이 시공 중인 공동주택은 상무지구 광주형 통합공공임대주택아파트(460세대·2026년 준공), 신창유탑리버시티아파트(304세대) 등 2곳이다.

올해 4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로부터 총사업비 2조원(면적 61.26㎢·설비용량 323㎿)에 달하는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다. 이 사업은 2029년 말 착공, 2031년 준공, 2032년 상업 운전을 목표로, 지난 5월 광주에서 투자자와 시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유탑엔지니어링은 중견 시공·감리업체다. 광주시청사, 전남도청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월드컵경기장, 기아챔피언스필드 등 광주의 대형 건물을 포함해 대구지방합동청사, 포항영일만항 국제여객터미널 등도 설계·감리했다.

유탑엔지니어링 역시 자금 상황이 좋지 않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기준 2024년 당기순이익은 20억원으로, 1년 만에 반토막(2023년 41억)이 났다.

유탑그룹 관계자는 이번 회생 신청 사유에 대해 “경영 정상화와 향후 계속기업으로의 가치 보존”이라고 설명했다.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         임영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0427583519165017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5일 00: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