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청년 취업난과 납치 범죄의 상관관계 임영진 사회부 차장 광남일보@gwangnam.co.kr |
2025년 10월 19일(일) 17:32 |
![]() |
광주에서도 5건의 실종 신고가 접수됐으며, 전남 광양, 여수 등에서도 ‘갑자기 연락이 끊겼다’. ‘행방을 알아봐 달라’는 신고가 잇따랐다.
가족 일부는 경찰에 “마지막 통화에서 아들이 작은 목소리로 ‘살려주세요’라고 한 뒤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심각성을 알리기도 했다.
명확한 거주지는 물론 생사 여부조차 확인되지 않자, 경찰은 외교부를 통해 주캄보디아 대사관에 재외국민 소재 확인을 요청했다. 하지만 수개월째 실종자들의 행방은 오리무중이다.
이번 사태는 분명히 개인의 비극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지역 청년들의 구조적 어려움, 특히 일자리 부족이라는 뿌리 깊은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실종자 대부분은 안정된 일자리를 찾아 떠난 20~30대 청년들이었다. 대다수는 ‘해외에 좋은 일자리가 있다’, ‘큰 돈을 만질 수 있다’는 유혹에 출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광주·전남은 전국에서도 청년 고용 환경이 열악한 지역으로 꼽힌다.
산업 기반은 약하고, 신성장 산업은 부족하다. 청년들이 기대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는 한정돼 있으며, 서울·수도권과의 격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는다. 결국 많은 청년들이 ‘남아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인식은 현실이 된 지 오래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취업’에 눈을 돌린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된 준비 없이 떠난 일부 청년들은 범죄 피해자가 되거나 가해자가 됐다.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가담한 경우는 분명 비난받아야 한다. 하지만 동시에 ‘왜 청년들이 해외 취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한 질문도 외면해선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제라도 청년 정책의 방향을 근본부터 재점검해야 한다. 단기 일자리나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청년이 지역에서 안정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다. 청년이 남고 싶고, 돌아오고 싶은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캄보디아 실종 사건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다. 청년이 떠나는 지역에 미래는 없다는 것을 우리 사회에 알리는 경고다. 근본적인 대책과 실천, 변화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