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태 도의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실제 고용으로 이어져야"
또한 “매년 개최되는 합동채용설명회가 취업으로 얼마나 이어졌는지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며 “참여자별 취업 추적, 기관별 성과 점검 등 체계적인 사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끝으로 “지역인재 채용제도가 청년의 삶과 지역사회의 성장으로 이어질 때 혁신도시의
2025년 10월 30일(목) 14:23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전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3)은 29일 한국도로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의 지역인재 채용 제도가 법정 비율 달성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청년 고용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상북도의회 주최로 열렸으며, 혁신도시 공공기관 관계자와 학계·지자체 전문가 등이 참석해 지역인재 채용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 의원은 이날 주제발표를 통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는 제도 시행 이후 10년간 지역인재 누적 채용 인원이 3,197명에 달하며, 2022년 이후 법정 의무비율 30%를 꾸준히 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채용 비율이 높아졌음에도 실제 채용 인원은 감소하는 역현상이 나타났다”며 “2022년에는 228명(35.1%)이 채용됐지만, 2023년에는 비율이 39.5%로 올랐음에도 인원은 141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광주·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공공기관이 밀집한 혁신도시임에도 지역 청년층이 체감할 수 있는 고용 확대 효과는 미미하다”며 “단순히 비율을 맞추는 양적 관리가 아닌, 실질적인 채용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특히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인재채용협의체’의 역할 재정립을 제안했다.

그는 “현재 협의체가 행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한계를 벗어나, 공공기관·지자체·대학이 함께 채용 현황을 점검하고 맞춤형 인재 양성 방안을 논의하는 실질적 협의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1801829520897002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30일 23:4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