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관,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 수상

행사·소통, 정책·운영 분야 과기부장관상 2개
AI 기반 과학관 혁신·관람객 중심 서비스 인정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2025년 11월 03일(월) 12:32
국립광주과학관(관장 이정구)은 최근 ‘2025 국제과학관심포지엄(ISSM) 학술대회’에서 2개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사진은 제15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에서 수상한 김상우 연구원(왼쪽)과 이요한 행정원(오른쪽)이 이정구 관장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국립광주과학관(관장 이정구)은 최근 ‘2025 국제과학관심포지엄(ISSM) 학술대회’에서 2개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난 달 30일과 31일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열린 제15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은 과학관의 주요이슈를 발굴하고, 전 세계 과학관 전문가들이 모여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의견을 나누는 교류의 장이다. 현장중심의 최신 과학이슈에 대한 생생한 담론으로 매년 이목을 모아왔다.

‘AI시대 과학관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국립광주과학관 AI 기반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과학관 경영혁신과 관람객 중심 서비스 추진 성과에 대한 연구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행사·소통 분야에서 전시기획실 김상우 연구원, 시설안전센터 강동훈 행정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정유라씨가 ‘인공지능과 내부 유휴자원을 활용한 디지털 업무 혁신 방안연구 : 에코터치 사례를 중심으로’를 발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받았다,

정책·운영 분야에서 경영기획실 이요한 행정원이 ‘AI 기반 과학관 맞춤형 조직문화 진단설계 및 분석’을 발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제15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에 참여한 국립광주과학관 이정구 관장과 직원들.
한편 이번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는 과학관 전시·교육·연구·정책·운영·행사·소통·디자인 6개 분야에서 과학관 종사자 및 관련 학계·산업계 재직자 등 과학관에 관심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접수된 연구 성과들은 사전검사 및 1차 평가를 거쳐 본선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과 5대 국립과학관장상 및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을 두고 겨뤘고 이 중 국립광주과학관은 참가기관 중 유일하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2개 분야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정구 관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AI 시대를 맞아 과학관의 역할과 가치가 새롭게 정립되는 중요한 자리였다”며 “국립광주과학관은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에게 창의적인 맞춤형 과학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과학관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정채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2140737521217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05일 17: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