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해양경찰정비창, 지역 수리조선산업 활성화 머리맞대

워크숍서 기업 육성과 생활·유동인구 확대 등 협력 방안 논의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11월 12일(수) 16:47
전남도-해경정비창 민관합동 워크숍
전남도와 해양경찰정비창이 12일 지역 수리조선산업 활성화와 상생협력 방안을 주제로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김원이 국회의원과 전남도, 전남도의회, 해경정비창, 조선산업 혁신기관과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행사는 해경정비창 개창이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과 공동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행사는 해경정비창 추진현황과 향후계획을 공유하고 전남 수리조선산업 현황과 육성 방안, 정비창 개창 연계 서남권 관광 활성화 등을 주제로 발표와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해경정비창은 국가 해양안전과 장비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함정 정비 전문기관이다. 이번에 건립된 해경정비창은 목포 신항만 허사도 3만 8000평 부지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2583억 원이 투입된 최신형 정비창이다.

1000t급 이상 대형 함정을 수리할 수 있는 안벽과 플로팅도크 등 상가시설을 갖추고, 연간 40~50척의 함정 정비가 가능하다.

목포 해경정비창 신설로 우리나라는 서해권 정비 거점 구축을 통해 동서 균형 정비체계를 확립하고, 국가 해양안보 대응력과 정비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됐다. 또한 수리물량의 일부 지역 발주와 도내 수주 확대 등 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도 함께 논의하고 있다.

정비창이 가동돼 수리조선산업이 활성화되면 타 시·도 수리·기자재 기업의 전남 이전과 투자 확대도 기대되며, 함정 수리 기간 교육 인원과 수리인력 등 체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유발효과 3300억 원, 고용유발효과 2300명 등 상당한 경제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해경정비창은 현재 정원 165명을 향후 303명까지 증원할 계획으로, 지역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곽부영 전남도 기반산업과장은 “해경정비창이 전남에 새 터전을 마련하고 지역과 상생협력을 추진하게 돼 매우 뜻깊다”며 “정비창 개창이 전남도의 수리조선산업과 관광 활성화에 새 동력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2933620522189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2일 20:2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