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1조2000억 규모 인공태양 연구시설 최적지"

전남연구원 분석…한전·에너지공대·AI 데이터센터 등 집적
"AI·컴퓨팅센터 연계 에너지-디지털 융합 생태계 구축 필요"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11월 12일(수) 18:17
차세대 청정에너지인 ‘인공태양 연구시설’ 부지 선정이 본격화된 가운데, 풍부한 입지자원과 안정적 에너지 공급망, 그리고 산업 연계 역량을 갖춘 전남 나주가 최적지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너지공대), 한전, AI 데이터센터 등이 집적된 에너지 클러스터와의 시너지로, 전남이 청정에너지 연구의 국가 전략 거점이자 ‘에너지-디지털 융합모델’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12일 발간한 JNI 이슈리포트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 전남 유치의 당위성과 기대효과’를 통해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산업적·정책적 파급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전남 유치의 국가적 타당성을 제시했다.

리포트는 인공태양 연구시설이 가져올 지역적 파급효과를 △산업 구조 고도화 △고급 연구인력 유입 및 지역 인재 양성 △고용창출·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지역 인프라 확충 △에너지 혁신도시로서의 브랜드 가치 제고 등 4가지 축으로 정리했다. 또한 프랑스의 ITER, 미국의 SPARC 등 해외 핵융합 연구시설 사례처럼 물리·기술·공간 인프라의 유기적 결합이 핵심 성공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특히 전남이 전국 최고의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대규모 전력 인프라, 넓은 부지 여건을 두루 갖추고 있어 유치 경쟁력에서 앞선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한전 본사를 비롯한 에너지 공공기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동신대학교 등 에너지 특화기관이 집적된 점은 인공태양 연구의 실증·응용 생태계 구축에 결정적 강점으로 꼽힌다.

또한 인공태양 연구시설이 최근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는 데이터·컴퓨팅센터와 결합할 경우, AI 기반 플라즈마 제어와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등 첨단 연구기술을 융합해 ‘청정에너지-디지털 융합 산업모델’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지원·송주연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는 국가 차원의 청정에너지 전환과 연구개발 분권화를 넘어, 지역균형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전남이 보유한 재생에너지 인프라, AI 데이터센터, 22개 시·군의 산업 데이터를 인공태양 기술과 연결한다면 새로운 융합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또한 “정부와 지역이 과학기술정책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개방형 거버넌스를 운영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과학기술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전남에서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2939074522206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2일 21: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