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15년 만에 증가세

10월 말 3만5328ha…전년보다 1034ha 늘어
도, 화학비료 살포 금지 등 인증 취소 방지 논의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2025년 11월 15일(토) 08:27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회의
전남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15년 만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남도가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사용 금지 등 인증 취소 방지 대책을 강화하고 나섰다.

전남도는 최근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고 인증 취소 주요 요인을 점검하는 한편, 현장 적용 가능한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도와 시군의 친환경농업 담당 공무원 30여 명이 참석했다.

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남지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3만532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3만4294㏊보다 1034㏊ 늘어난 규모로, 인증면적 증가가 나타난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인증 확대 요인으로는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시행, 친환경 벼 신규 재배 확대 등이 꼽힌다.

회의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영농 인력 부족, 이상기후 등 불리한 농업 여건 속에서 인증 취소를 막기 위한 행정적·기술적 대책이 집중 논의됐다.

친환경 인증 취소의 주요 사유는 △논두렁 제초제 사용 △유기농 필지의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 △병해충 방제 과정의 합성농약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는 인증농가 교육 강화, 공동방제 사전신고제, 드론 방제 안전교육, 현장 지도점검 등으로 인증 취소 면적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남도는 인증 취소 예방을 위해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을 올해 시범 추진하고, 유기농 벼 재배 필지의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사용을 막기 위해 자운영·헤어리베치 등 두과 녹비작물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친환경 벼 인증농가의 타인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질비료·유기농업자재 사용 준수 등 필수 관리 기준도 재차 당부했다.

생산 단계에서는 친환경 육묘상자 처리제 적용, 부적합 농자재 사용 금지, 출하 전 친환경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의무화 등 안전성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농업인에게 영농 시기별 친환경 인증 기준을 문자로 안내해 현장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인증 취소 방지 대책의 실행력을 높여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을 확산하고, 단지화·집적화를 통해 인증 품목도 다양화하겠다”며 “소비자가 신뢰하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16282652243401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5일 10: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