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하철 승객 안전 구멍…전문 치안인력 ‘0명’

‘지하철경찰대’ 등 미도입…위험 상황시 대응 취약
환경미화·역무직 중심 인력 배치…대책 마련 시급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2025년 11월 16일(일) 18:16
광주 도시철도의 치안 공백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개통 20여 년이 지났지만 역사 내 안전을 책임질 전문 인력인 ‘지하철보안관’이나 ‘지하철경찰대’가 여전히 도입되지 않아 위험 상황 발생 시 현장 대응이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광주교통공사에 따르면 광주지하철 1호선은 동구 녹동역에서 광산구 평동역까지 총 20.5km 구간, 20개 역사를 운행 중이다. 2004년 1구간(녹동~상무), 2008년 2구간(김대중컨벤션센터~평동) 개통 이후 약 20년간 운영돼 왔지만 치안 인프라는 제자리걸음에 머물러 있다.

현재 20개 역사 중 19개 역사에 배치된 인력은 역무직 160명, 환경미화직 74명에 불과하다. 역사별 안전 관리 책임자인 역장은 8명으로, 1명이 2~3개 역을 동시에 맡는 구조다. 청원경찰은 도시공사 본사(서구 마륵동)에 4명이 교대근무할 뿐, 각 역사에는 상주 인력이 없다.

교통공사는 비상상황 대비용 호신 스프레이 등을 역 사무실에 비치하고 있지만, 다수 직원이 비치 사실조차 제대로 알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각적 불안·위화감을 이유로 휴대조차 금지돼 실효성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지하철 내 강력사건은 이미 전국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2023년 8월 상무역에서는 30대 여성 A씨가 약 35cm 흉기로 역무원을 위협해 경찰이 10여분만에 제압했다. A씨는 이전 갈등으로 앙심을 품고 계획적으로 범행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21일 서울 2호선 당산역에서도 50대 남성 B씨가 “칼 꺼내면 다 죽는다”고 협박해 체포됐다. B씨의 가방에서는 식칼 8자루와 가위 1개가 발견됐다.

광주 지하철 역시 유사한 위기에 대응할 전문인력이나 즉각 체포·제지 권한을 가진 조직이 없어 대응 공백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시·도는 지하철보안관이나 지하철경찰대를 운영하며 역사 내 질서 유지, 범죄 예방, 위험 상황 조기 대응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광주는 “지하철 규모가 작고 범죄 취약지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도입이 미뤄져 왔다.

하지만 2호선 개통을 앞두고 이용객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전문 치안 조직 도입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교통공사는 경찰·소방과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정기 통합훈련을 진행하며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직원들이 재난 대응 매뉴얼을 숙지하고 있으며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지속 운영하고 있다”며 “이용객 안전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매뉴얼과 훈련만으로는 즉각적인 현장 대응에 한계가 있어 전문치안 인력 도입, 권한 부여, 안전 장비 실효성 확보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284582522558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6일 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