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이 만든 문명' 노마드 따라 걷는 실크로드의 삶

ACC, 25일부터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우즈벡·키르기스 등 협력···조사·수집 자료 ‘한자리’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2025년 11월 24일(월) 18:30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김상욱)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중앙아시아의 이동과 교류의 역사를 조망하는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를 오는 25일 개막, 2027년 11월 24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선보인다. 사진은 1부 ‘카라반의 숨결이 쉬어간 자리’ 전경.
유목민의 이동식 천막집.
카라반·바자르·초원 유목문화….

실크로드는 단순한 무역로를 넘어 이동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흔적의 축적이라 할 수 있다. 카라반으로 대표되는 이동 상인들, 대상숙소와 시장에서의 교류, 초원의 유목민들 등 노마드의 물질적·정신적 흔적이라는 이야기다. 노마드의 삶을 토대로 중앙아시아의 이동과 교류, 유산을 실크로드를 테마로 소개하는 전시가 펼쳐진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김상욱)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중앙아시아의 이동과 교류의 역사를 조망하는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를 오는 25일 개막, 2027년 11월 24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선보인다.

2부 ‘교역이 꽃피는 곳, 바자르’에서 선보이는 카펫과 여러 직물들.
금속공예품.
이번 전시는 지난해 새롭게 개편된 동남아시아실 ‘몬순으로 열린 세계’에 이은 두 번째 상설전시로, 해상 실크로드에 이어 육로 실크로드의 문명을 다룬다. ‘길 위의 노마드’는 ‘실크로드는 하나의 길’이라는 통념을 넘어 카라반과 유목민, 동물의 발걸음과 교역의 경로가 겹겹이 쌓여 만들어낸 ‘움직이는 선들의 집합’으로 실크로드를 조명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사막과 초원, 오아시스 도시를 오가며 삶을 꾸렸던 중앙아시아 사람들의 이동과 머묾, 교류의 흔적을 감각적으로 풀어낸다.

전시의 주인공은 두 부류의 ‘노마드’다. 대상숙소(카라반사라이)와 시장(바자르)을 오가며 흔적을 남긴 이동 상인들, 그리고 자연의 리듬에 따라 이동하며 흔적을 최소화해 온 초원의 유목민이다. 관람객은 카라반이 숨을 고르던 숙소, 이슬람 도시의 바자르와 공방, 말과 함께 살아가는 유목민의 삶, 초원의 유르트(유목민 이동식 천막집) 공간을 차례로 지나며, 유목문화와 정주문화가 만들어낸 연속적인 관계망을 경험한다.
도자기(장난감 피리).
목공예품.
이번 전시는 크게 3개의 파트로 구성돼 있다. 먼저 1부 ‘카라반의 숨결이 쉬어간 자리’에서는 대상숙소를 중심으로 사막을 건너는 상인들의 이동과 휴식의 공간을, 2부 ‘교역이 꽃피는 곳, 바자르’에서는 도자기·카펫·직물·악기·목공예품 등 땅에서 난 모든 것이 모여 거래되던 시장의 활기를 소개한다. 3부 ‘초원, 자연과 조율하는 삶’은 유르트와 마구·말갖춤, 유목민의 생활용품을 통해 노마디즘의 지혜와 현대적 의미를 풀어낸다.

또한 아시아문화박물관이 그간 축적해 온 조사·수집 성과도 이번 전시를 통해 종합적으로 공개된다. 중앙아시아 유목문화에서 태어난 마구와 말갖춤, 유목민의 일상 도구와 직물, 우즈베키스탄 바자르에서 교류된 카펫과 도자기, 악기, 세밀화, 목공예품 등 교류와 순환 속에서 탄생한 문화유산을 현지에서 기록한 영상 아카이브와 함께 소개한다.

초원(말갖춤).
<>이번 전시는 몽골국 문화부와 국립문화유산센터·국립예술대학교, 우즈베키스탄 문화부와 사마르칸트시, 주한우즈베키스탄대사관, 키르기즈공화국 문화부와 주한키르기즈공화국대사관, 투르크메니스탄 문화부, 주한투르크메니스탄대사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추진됐다. 현지 기관과 장인, 예술가들이 제공한 소장품 기증과 구입, 공연·연주 영상 촬영 지원, 전문가 네트워크가 전시 기획과 콘텐츠 구성 전반에 반영됐다.

전시장을 나오면 ‘원형에 담은 중앙아시아의 삶과 문화’라는 타이틀로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조성을 계기로 우즈베키스탄 문화부와 사마르칸트시, 이옥련 한중아친선협회 회장으로부터 기증받은 기념품 및 관련 자료도 접할 수 있다. 서울 광희동 소재 중앙아시아 거리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들의 인터뷰로 마련돼 일상적인 삶을 조명한다.

<><><>김상욱 전당장은 “‘길 위의 노마드’는 중앙아시아 초원과 오아시스 도시의 예술과 생활문화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이동과 교류가 만들어낸 실크로드의 유산을 오늘의 시각에서 재해석한 자리가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를 통해 아시아 각 지역의 문화다양성과 공존의 지혜를 지속적으로 소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 중앙아시아 이동과 교류의 유산’은 전 연령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관람 시간 및 자세한 사항은 ACC 누리집(www.ac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정채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3976634523375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24일 21:3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