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 ‘AI메가샌드박스’ 시범도시 지정돼야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2025년 11월 27일(목) 18:25
‘규제 샌드박스(Sandbox)’는 사업자가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기간·장소·규모 제한 등 일정조건아래 시장에 우선 출시해 시험·검증할 수 있도록 현행 규제의 전부나 일부를 적용하지 않고 유예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파생된 ‘AI메가샌드박스’는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의 규제를 대폭 완화해, 도시 전체에서 AI 기술을 자유롭게 시험·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국가 단위의 초대형 규제혁신 플랫폼을 의미한다. 이는 통합형 규제혁신 모델로 AI 서비스, 데이터, 인프라, 실증, 규제특례 등을 한 번에 통합해, 기존의 소규모 실증구역이나 규제자유특구를 넘어 도시 전체에서 신산업을 자유롭게 육성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장황하게 이들 용어를 설명하는 것은 광주시가 최근 정부에 공식 제안한 NPU(신경망처리장치) 컴퓨팅센터 유치와 AI(인공지능) 규제프리 실증도시 등이 사실상 ‘AI 메가샌드박스’구상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규제자유특구나 부분적 실증구역 지정을 넘어 국가 단위 AI 실증·규제혁신 거점을 광주에 구축하겠다는 종합 청사진이라는 얘기다.

광주는 ‘AI메가샌드박스’대상으로 산업 기반을 갖춘 자동차·에너지·헬스케어 분야를 최우선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주시의회도 힘을 보태 지난 26일 본회의를 열고, 8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가 제안한 ‘AI 메가샌드박스 시범도시 지정 및 국가 NPU 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촉구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현행 규제샌드박스는 분야별·법령별로 분절돼 있어 도시 전체를 융합적인 실증구역으로 운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광주가 제안한 AI 메가샌드박스야말로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비전과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 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공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핵심 열쇠”라고 말했다.

또 “광주는 지난 5년간 국가 AI데이터센터와 실증 인프라를 구축해 온 최적지”라며 “특정 지역의 이익이 아닌 국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정부가 주도적으로 통합 규제체계를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광주시와 지역 정치권의 이같은 제안에 대한 정부의 화답이 관심사가 되고 있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광남일보 홈페이지(gwangn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64235539523775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28일 00:5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