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금남로 차 없는 거리, 열린 문화공간 ‘우뚝’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광주 금남로 차 없는 거리, 열린 문화공간 ‘우뚝’

3월 시행 이후 10만명 방문…볼거리·즐길거리 다채
골목상권·지역경제 활성화도…12월까지 운영 예정

‘금남로 차 없는 거리’ 행사가 시민들이 주체가 돼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기획·참여하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사진은 물놀이장에서 물놀이를 즐기고 있는 어린이의 모습.
‘금남로 차 없는 거리’ 행사가 시민들이 주체가 돼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기획·참여하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금남로 차 없는 거리’ 행사가 시민들이 주체가 돼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기획·참여하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사진은 금남로를 뛰어가는 시민들의 모습.


광주 동구가 올해 저음으로 시행 중인 금남로 ‘차 없는 거리’ 행사가 시민의 열린 문화 공간으로 각광 받고 있다.

5일 동구에 따르면 금남로 공원부터 전일빌딩245 앞까지 5차로 도로 540m(폭 30m) 구간을 ‘차 없는 거리’로 지정, 3월부터 첫째 주 토요일 또는 일요일(오후 2~8시)마다 운영하고 있다.

대표 슬로건은 걷자잉(ing)으로, 이 안에 ‘찍어잉’, ‘쉬자잉’, ‘줄여잉’, ‘놀자잉’ 등 공간을 마련해 매달 테마별로 4월 ESG 유소년축구대회, 5월 어린이날 행사, 6월 오징어 게임, 7~8월 여름 물 관련 행사 등을 진행했다.

지난 3월8일부터 7월5일까지 5회차 운영 결과, 꾸준히 방문객이 늘고 있는 추세다.

3월8일부터 7월5일까지 총 5차례 운영 결과 누적 방문객 수는 약 10만명에 달한다. 3월 개장일에는 1만1600여명이 방문했고, 이후 4월 1만1800명, 5월 2만1000명, 6월 3만6400명, 7월에는 2만6500여명이 찾았다.

6월부터 시민 접근성을 높이고자 기존 일요일에서 토요일로 변경한 것은 ‘신의 한수’가 됐다.

이처럼 차 없는 거리가 방문객으로부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은 이곳에서만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있었기 때문이다.

평소 자동차로 가득한 금남로에서 친환경 동아리와 비영리단체 등이 운영하는 플리마켓, 분필 아트존, 어린이를 위한 에어바운스 놀이터, 길거리에서 즐기는 버스킹 공연,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참여자 인센티브 제공 등 도심 속 친환경 행사가 펼쳐졌다.

또 상인회와 사회적경제기업 등이 마련한 장터는 침체한 골목상권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한몫하고 있다.

동구는 9월부터 12월까지(10월 제22회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 제외)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한다.

특히 연말에는 ‘미리 메리크리스마스’를 주제로 시민들과 함께하는 따뜻한 연말 맞이 행사를 마련할 계획이다.

임택 청장은 “금남로 ‘차 없는 거리’의 진정한 가치는 광주의 역사가 깃든 금남로를 자동차가 아닌 시민들에게 돌려준다는 것이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차 없는 거리’에 관심을 갖고 방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