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활동과 문화예술기관 종사자로서 살아온 시간을 되돌아본다. 45여년의 시간을 문화예술에 묻혀 살고 있다. 좌절도 맛보았지만 이는 나를 성장시켰고 긍정적이고 좋은 기억이 더 많다. 광주문화재단에서 1...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3.05 17:23[아침세평] 동화 작가 정채봉은 어른을 위한 동화도 많이 썼다. 그의 문장은 한 잎 벚꽃처럼 맑고 순하다. 때로는 작고 단단한 은장도나 촌철 같기도 하다. 그의 에세이집 ‘처음의 마음으로 돌아가라’에는 ‘낚싯밥...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2.26 19:04[아침세평]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노래를 부르면 누구나 손을 층층이 올리면서 노래를 한다. 남녀노소 다 같이 노래를 부르며 생각을 공유한다는 것은 나노사회에 흔치 않은 일이다. 숏츠에 올라온 소식을 ...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2.19 17:26[아침세평] 2025년 새해를 맞이해 어제를 돌아보며, 새로운 마음으로 계획하며, 바쁘게 살아왔는데 벌써 1달이 훅 지나갔다. 그래도 우리는 위안이지 않은가? 신정 때 마음먹었던 일들이 잠시 뒤틀렸을지라도 다시...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2.12 18:13[아침세평] 생각없는 좀비들이 다른 개인의 삶 구석구석에 침투해 영혼을 침탈하고 있다. 심리적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 비상계엄 이후로 우리사회에 비정상적인 사고가 넘쳐나고 있다.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왓슨은...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2.05 18:00[아침세평] 아침 사과는 금, 저녁 사과는 똥이란 말이 있다. 웃음소리 같지만 과학이다. 아침 사과는 식이섬유가 독을 빨아들여 똥으로 내놓고, 프락토스가 에너지를 지속 공급한다. 저녁사과는 소화가 느려 잠의 질...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1.22 17:04[아침세평]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은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예술 창작활동을 촉진하고 시민들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작 지원, 공연 및 전시 지원, 문화 향유 ...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1.15 18:14[아침세평] 교과서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하다. 그런데 여기에 AI가 붙고 또 디지털이 붙으니 뭔가 아주 생소한 것이 등장하는가 보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다. AIDT(디지털교과서) 이야기다. 사실 AI 디지털 ...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1.08 18:07[아침세평] 소화불량은 상복부에서 느껴지는 통증 혹은 불편감을 말한다. 소화불량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배가 아프다, 배가 더부룩하다, 가스가 찬다, 쓰리다, 뭐가 찌르는 것 같다’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추...
광남일보@gwangnam.co.kr2025.01.01 16:56[아침세평] 12월 25일은 성탄절이다. 성탄절은 어떤 사람에게는 희망의 날이었으나 다른 사람에게는 절망의 날이었다. 성탄은 메시아가 탄생한 날이다. 그러나 헤롯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두 살 아래의 모든...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2.25 17:06[아침세평] 픽사의 창의성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철학을 반영된 포켓 몬스터, 판타지아, 버즈 라이트이어, 토이스토리를 아이들과 즐겨 보았던 기억이 그립다. 이 작품들은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결과물임을 잘...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2.18 17:45[아침세평] 인간은 행복을 추구한다. 행복하기 위해 끊임없이 행복한 삶을 쫓으며 살아간다. 행복이란, 현실에서는 멀고 돌아보면 행복을 추구한 그 시절이 가장 행복하다고 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인정이 더 메말라가...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2.04 18:35[아침세평] 인연(因緣)이란 단어는 스친 바람 같은 수채화 느낌인데, 필연(必然)은 단단하게 굳어진 유화 같다. 그래서 인연은 되새겨 보는 순풍의 결말에 이르고, 필연의 결과는 호불호(好不好)를 떠나 숙명으로 ...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1.27 18:18[아침세평] 문제를 하나 내보자.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교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지원청은 어디일까? 정답은 광주 서부교육지원청이다. 서부교육지원청이 담당하고 있는 학교의 수는 198개에 이르고 이중 초등학교 수만...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1.20 17:09[아침세평] 머리에 쓰면 남들에게 보이지 않는다는 도깨비감투가 있다면, 그런 마음이 가끔 든다. 힘든 사람을 만나면 살짝 거들어주고, 남의 것을 빼앗는 놈들은 ‘딱’ 꿀밤도 때리고, 입만 나불대고 놀고먹는 놈들...
광남일보@gwangnam.co.kr2024.11.13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