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화, 밀집화된 건물이 많은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사는 아파트, 사무실이나 숙박시설 용도 등의 대형건물에서 불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불이 나면 주변에 알린 후 우선 소화를 시도해 보고 소화가 불가능하다면 반드시 문을 닫고 빠르게 대피해 119에 신고 또는 구조 요청을 하면 된다.
그렇다면 이외의 장소에서 화재가 난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반드시 이 세 가지를 기억하자.
첫째 상황 판단, 둘째 대피 방향, 셋째 대피방법이다.
상황판단을 할 때는 이웃집에서 불이 났다는 사실만으로 무조건 대피하려 밖으로 나오지 말아야 한다. 섣부르게 밖으로 나왔다가 복도에 퍼진 유독가스를 마시고 사망하는 사례가 많았다는 걸 명심하고 안내방송이나 창을 통해 화재가 우리 집 쪽으로 번지는지 등의 추이를 살피면서 냉철한 상황판단을 하는 게 먼저다.
대피 방향의 기본은 발화점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즉 우리 집 위쪽에서 불이 났다면 지상으로 대피해야 하고 우리 집 아래쪽에서 불이 났다면 옥상으로 대피해야 한다.
엘리베이터는 열과 화염이 움직이는 아주 좋은 공간이고 정전 시 갇힐 수 있으므로 절대로 이용하면 안 된다.
끝으로 화재 시 대피 방법이다. 움직일 땐 몸을 최대한 낮추고 물을 적신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벽을 짚으며 이동해야 한다. 이동 중 문이 나타난다면 열기 전에 반드시 손잡이를 만져 온도를 확인한다. 손잡이가 뜨거운 경우 문 반대쪽에 화재가 이미 번진 상황이므로 다른 탈출구를 찾아야 한다. 또한 문을 열고 나갔다면 반드시 다시 닫아줘야 연기 등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집에 있기로 했다면 수건에 물을 적셔 현관문을 비롯한 문 틈새를 막고 연기가 들어온다면 피난시설인 완강기나 피난 사다리가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