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0일 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후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RE100 산단 추진방안을 보고했다”고 말했다.
‘RE100 산단’에 위치한 기업은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만 100% 사용해 기업활동을 하도록 하겠다는 게 대통령실 구상이다.
김 정책실장은 “특히 해당 보고를 받은 이재명 대통령은 원칙적으로 (RE100 산단의 경우) ‘규제 제로’ 지역이 되도록 검토해달라. 교육 정주 관련 지원도 더 획기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산단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전기료 할인 혜택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들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최우선 정책과제로 특별법 제정과 산단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서남권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풍부한 지역이 있음에도 전력수요는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크다. 이로 인해 국가적 비효율이 초래된다”며 RE100 산단 조성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전남도가 정부에 줄기차기 지원을 요청한 RE100 국가산단의 전남 서남권 조성에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전남도는 해남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데이터센터 3GW)’를 구축하고, 데이터센터 RE100 특화산단을 조성해 대규모 ‘AI 에너지신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목포 신항, 영암 대불산단, 해남 화원산단, 영암 기업도시 등에는 글로벌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아시아 태평양 해상풍력 허브’로 만들 예정이다.
또 국립 해상풍력 연구소, 지원 부두, 배후 단지 등과 함께 기자재 특화단지까지 들어서 해상풍력지원선 국산화에 나선다는 전남도의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커졌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박정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