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수출 중기 지원 등 하반기 달라지는 시책 발표
검색 입력폼
자치

전남도, 수출 중기 지원 등 하반기 달라지는 시책 발표

일자리·농해수산·관광·복지 등 6대 분야 40건 누리집 공개
소비쿠폰 지급·농지규제 완화 등 민생 회복·경제 활력 집중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책자)
전남도가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 40건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절반인 20건은 신규 도입 정책으로, 민생 부담을 덜고 지역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일자리와 경제 분야에서는 공산품 수출 중소기업에 수출 실적 1만 달러당 100만 원(기업당 최대 500만 원)을 지원하고, 수출용 해조류 안전성 검사비도 연간 2000만 원 한도에서 전액 지원한다. 전남으로 이전한 벤처기업은 고용 규모에 따라 1억~5억 원의 투자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전남형 청년사관학교’를 통해 창업 청년 150명에게 월 100만 원씩 최대 2년간 바우처가 지급된다. 또 도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2차로 나눠 지급돼 11월 말까지 신속하게 집행될 예정이다.

농림·해양·수산 분야는 규제 완화와 현장 지원 확대가 핵심이다. 농업진흥지역 내 근로자 숙소 설치가 허용되고, 농지전용허가권한이 지자체로 확대돼 민원 절차가 간소화된다. 마리나업 등록·관리 권한도 국가에서 광역지자체로 이양되며, 해상가두리식 수산종자생산업 허가 신설로 종자중간육성업이 활성화된다. 식품제조 현장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위생관리 가이드라인도 영어, 베트남어 등 5개 언어로 제공된다.

관광·문화·체육 분야에서는 오는 10월 목포에서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가 전국 최초의 미식산업 국제행사로 열린다. 또 기초연금 수급 어르신(65세 이상)에게는 공공체육시설 이용권이 모바일로 제공되며, 회당 5만 원, 연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된다.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 요건도 공유 오피스까지 확대돼 창업이 한층 쉬워진다.

복지·인구·여성 분야에서는 자활사업자가 취업·창업할 경우 근속기간에 따라 최대 150만 원의 자활성공금이 지급된다. AI와 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서비스는 22개 시군으로 확대되고, 맞벌이 가정을 위한 ‘전남형 조부모 손자녀 돌봄 지원 사업’이 신규 시행된다. 청년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와 입양 절차 개선도 포함됐다.

안전·환경 분야는 재난 대비 마을순찰대가 도입돼 주민 스스로 재난 위험에 대응하도록 하고, 다중운집 재난 대응체계가 강화된다. 댐 주변지역 정비사업비 상향으로 주민 생활환경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일반행정 분야에서는 만 65세 이상 민주화운동 피해자에게 매월 6만 원의 민주화운동명예수당이 지급된다. 또 완도에서 여순사건 첫 직권조사를 시작으로 향후 전남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앞으로도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 발굴해 도민 삶의 질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의 세부 내용은 전남도 누리집(www.jeonnam.go.kr) 정보공개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