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형 RISE, 17개 사업 수행대학 선정, 본격 가동
검색 입력폼
자치

전남형 RISE, 17개 사업 수행대학 선정, 본격 가동

대학별 특성화 분야 전문인재 양성…5대 프로젝트 과제 추진

전남형 RISE산업 비전과 전략
전남도가 2년여 간의 준비 끝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수행대학을 선정하고 ‘전남형 RISE’를 본격 가동한다.

도는 글로벌 지역특화 인재양성, 지역 산업혁신 챌린지, 전문직업평생교육 허브센터, 초연결 공유캠퍼스, 역동적 대학-지역 동반성장 등 5대 프로젝트에 전남지역 17개 대학이 과제별 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과제별로는 대학별 특성화 분야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글로벌 지역특화 인재양성’에 13개 대학, 전남 주력·미래산업 분야 산학연 협력과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 산업혁신 챌린지’에 8개 대학이 각각 선정됐다. 이외에도 지역 평생·직업교육 강화를 위한 ‘전문직업평생교육 허브센터’에 8개 대학, 대학 인프라 공동 활용과 창업기지 육성을 위한 ‘초연결 공유캠퍼스’에 6개 대학,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역동적 대학-지역 동반성장’에는 10개 대학이 참여한다.

이번 과제는 10일간의 이의신청과 사업계획서 보완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선정된 대학은 오는 5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세연 전남도 대학정책과장은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과 취창업, 정주가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 지역 활력 회복에 기여하겠다”며 “대학과 지자체, 산업체 간 협력을 통해 전남형 RISE 성공모델을 창출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도는 미선정 사업과 추가 과제를 포함해 82억 원 규모의 재공모를 5월 중 실시할 계획이며, 올해 전체 RISE 사업에는 총 673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시진핑, 7∼10일 방러·전승절 행사 참석…"푸틴과 전략적 소통"
- 전남도, ‘광양 도시개발’ 예정부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 전남도, 인도네시아 재생에너지 시장 공략
- 전남도,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환 가속
- 전남도, 청년문화예술패스 발급 증가율 전국 최고
- 전남서 초대형 크루즈선 시범 운항…새로운 관광 콘텐츠 제공
- 전남도, 5월 한달 봄철 불법어업 일제 합동단속
- 전남도, 에너지산업 거점 조성 사업 본격화
- 전남도-시군, 육·해상풍력 발전단지 안전점검 실태 확인
- 전남도, 정부 민생 추경 2394억 원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