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솔라시도,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 선정
검색 입력폼
해남

해남 솔라시도,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 선정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유치 탄력
명현관 군수 "지역소멸위기 대응·미래 신산업 동력 확보"

해남 솔라시도 기업도시 전경 조감도.
해남군이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지역 내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과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해남군에 따르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실무위원회를 열고, 전국 11개 지자체 중 7곳을 분산특구 후보지로 최종 선정했다.

분산특구는 지난해 시행된‘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기존 전기사업법과 전력시장운영규칙 등의 규제를 완화해 에너지 신사업을 실증하는 지역이다. 전력 직접거래 허용, 저렴한 전기요금 적용, 에너지 자립형 구조 조성 등을 통해 지역 간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새로운 시장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핵심이다.

후보지로 선정된 7곳은 실증 목표에 따라 신산업 활성화형(제주, 부산, 경기, 경북), 수요 유치형(울산, 충남, 전남)으로 나뉜다.

군은 솔라시도 기업도시 내 데이터센터 등 에너지 다소비 첨단기업 유치를 위한 세계 최대 규모 AI슈퍼클러스터 허브와 데이터센터 특화 RE100 산업단지를 조성, ‘AI-재생에너지-첨단기술’이 집약된 신개념 도시모델을 제시한다.

여기에 영암 삼호 삼포지구에 해상풍력 배후단지와 연계한 해상풍력 기자재클러스터 육성 전략도 함께 포함된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전기사업법, 전력시장운영규칙 등 각종 규제 특례가 적용돼 전력 직거래, 에너지 신사업 실증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전기 사용처에 대한 전력계통영향평가의 사실상 면제, 전력망 이용요금 등 전기료 인하, 분산에너지 사업자와 전기 사용자 간 직접거래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산업부는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를 6월 중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분산특구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지역별 여건에 맞춘 전력 신사업 모델이 제도화되며, 계통 포화에 따른 송전 제약과 출력제어 해소 등 에너지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분산특구 지정이 되면 글로벌 첨단기업 유치에 큰 힘이 될 것이다”며 “지역소멸위기 대응과 미래 신산업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1%의 가능성만 있더라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해남=성정수 기자 sjs8239@gwangnam.co.kr         해남=성정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전남농기원, 녹차 활용 발효차 ‘K-다크티’ 캐나다 첫 수출
- 한전, 공기업 최초 공유차량 서비스 도입
- 신협,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확대
- 전국 74개 상의, 지역별 맞춤 입법 대응 나선다
- 광주조달청, 혁신제품 지정 ㈜에스아이솔루션 방문
- 호남권 최대 식품박람회 광주서 열린다
- 재단법인 남도장터, 2025년 인권경영 선포식 개최
- 조선간호대 청라봉사단, 나주 남산마을서 재능기부
- [부고] 문병완(광주 서부경찰서 형사3팀장)씨 부친상
- 진도군, 해양교통 정보 제공 등 안전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