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상공회의소가 최근 지역 제조업체의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대응 전략 파악을 위해 133개 기업 대상 ‘미래 신사업 추진실태 조사’ 결과,56.4%가 신사업을 추진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추진 중이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43.6%였다.
이들 기업이 신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가장 많은 37.4%가 시장·사업성에 대한 확신 부족을 꼽았다. 이어 ‘자금 등 경영 상황 악화 33.3%, 신사업 아이템 부재 20.0% 등의 순이었다.
신사업 착수 기업들도 자체 연구개발(65.5%)또는 외부 기관·기업과의 협력(29.3%) 등으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대 전망은 밝지 않았다.
응답 기업의 48.3%가 ‘아직 판단이 어렵다’고 했고 10.3%가 ‘내부 또는 외부 요인에 따른 추진 차질’로 응답하는 등 58.6%의 불확실한 시장성 때문에 판단을 유보하거나 부정적으로 답변했기 때문이다.
‘성과가 기대된다’(22.4%),‘성과를 창출했다 ’(5.2%) 등 긍적적인 답변은 27.6%에 불과했다.
신사업 추진 애로사항으로는 ‘자금 부족과 조달 애로’(57.9%), ‘판로 확보·유통 경로 개척’(46.6%), ‘시장 불확실성’(43.6%) 등을 복수로 응답했다.
문제는 지역 제조업체들이 바라보는 기존 시장 상황도 그리 좋지 않다는 것이다.
응답 기업의 58.6%가 주력사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시장포화인 ‘성숙기’로 평가했고 시장축소인 ‘쇠퇴기’도 24.8%에 달하는 등 83.4%의 기업이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수요증가인 ‘성장기’는 12.8%,시장초기인 ‘도입기’는 3.8%에 불과했다. 시장 내 경쟁상황도 ‘경쟁 치열’(57.9%), ‘경쟁업체 턱밑 추격’(21.1%)등 대다수가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이 때문에 이들 기업이 과감히 신사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맞춤형 컨설팅, 기술 개발 지원, 판로 개척 등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