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지역필수의사제 대책 마련 시급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전남 지역필수의사제 대책 마련 시급

전남도가 이달부터 지역 필수 의사제 시범사업에 들어갔지만 시작부터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한다. 내과·외과·산부인과 등 8개 필수과목 의사 24명을 모집했지만 내과 2명, 심장내과 1명, 신경외과 1명 등 4명만 지원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전남도내 사업 수행기관인 4개 병원중 목포한국병원에 2명, 순천 성가를로병원에만 2명이 배정됐고, 목포시의료원과 순천의료원은 아직 지원자가 없는 상태라고 한다.

여기에는 지원자격 조건을 ‘전문의 취득 5년 이내’ 의사로 제한하는 등 까다로운 채용조건과 열악한 정주여건이 한 몫을 했다고 한다.

보건복지부가 전남, 경남, 강원, 제주 등 4곳에 시범 도입한 이 사업은 한마디로 지방의 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한 의료공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문의 취득 5년 이내의 8개 필수과목 의사가 종합병원급 이상 지역의료기관에서 필수과목을 진료하며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급여외 정부로부터 월 400만원의 지역근무수당을 받고 지자체로부터 주거 등 정주여건을 지원받는다는 게 주 내용이다.

하지만 시범사업이 시작된 지 한 달이 다 되도록 4곳 모두 지원자가 적다고 한다.

지자체들이 또 다른 지원책을 제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실제로 경남도는 타지에서 가족과 함께 전입할 경우 1인당 200만원의 환영금을 지급하고 전입 6개월 후부터 계약 만료 전까지 미취학 자녀와 경남 소재 초·중·고를 6개월 이상 다니는 자녀에게 1인당 50만원을 매월 지급키로 했다. 강원도는 춘천·원주는 월 100만원, 강릉은 월 200만원의 지역상품권과 강원랜드 리조트 활용권을 지급키로 했다. 전남도도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의료인도 지원할 수 있도록 자격을 완화했다고 한다.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