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 광산구청 전경 |
12일 광주 광산구 등에 따르면 홈페이지를 통해 산사태현장예방단(2명), 임도관리원(1명),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1명)을 모집하는 공고문을 3~5차례 올렸지만 모두 인력 수급에 실패했다.
자격 기준은 광주 광산구(주민등록상) 거주한 18세 이상 신체 건강한 자로 예초기, 기계톱 등 산림 장비 사용이 능숙하고 화물차 등 개인 차량을 소유한 자다.
근무 기간은 오는 9월부터 11월까지이며, 임금은 공무직·기간제 노동자의 근로기준법을 적용한 일당(8시간 기준) 8만240원을 받는다.
산사태현장예방단, 임도관리원의 선발 우대조건은 산림 분야 자격증 소지자, 산림 분야 근무 경력, 스마트폰·컴퓨터·GPS·GIS 활용 가능한 자 등이다.
특히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은 화물차(1t 이상) 소유·활용 가능한 자만이 지원 가능하다고 명시했다.
현재 산사태현장예방단과 임도관리원은 4차 공고,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은 6차 공고를 올린 끝에 각각 1명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 |
광주 동구청 전경 |
동구 역시 근로자 신규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달 16일부터 구립도서관 책정원 사서 채용공고를 내고 인력(1명) 채용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력·자격요건은 준사서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필수), 1년 이상 도서관 근무·사서 행정업무 경력자(우대)다.
주 5일(오후 1~9시·저녁 시간 1시간 제외) 35시간 근무조건과 2년 계약에 연봉 2773만원을 내걸었다.
하지만 모집에 난항을 겪자 기존 직원 9명이 도서관 야간 운영을 위해 지난달부터 추가로 근무하고 있다.
이처럼 공무직·기간제근로자 지원이 저조한 이유는 계약직이라는 불안한 신분과 열악한 근무조건 등으로 알려졌다.
특히 산림 관련 업무에 대한 임금과 자격조건 등은 산림청 기준에 따라야 한다.
산림 관련 업무는 산림청과 광주시의 예산이 투입되는 국·시비 매칭 사업이지만, 근로자의 임금은 최저임금(8만240원)으로 정해졌다.
반면 구에서 직접 고용하는 노동자는 생활임금에 따른다. 실제 광산구 예초 기간제노동자의 생활임금(10만8000원)과 비교하면 크게 차이가 난다.
광산구 관계자는 “산림 관련 업무는 산을 타거나 예초, 벌목, 산불 예방 등의 업무가 부여돼 타 직렬보다 힘들어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지원자가 있지만, 근무 기간도 짧고 상대적으로 임금이 적다 보니 매년 4차 공고까지 올린다”고 언급했다.
동구 관계자는 “야간 근무에 근무지가 시내권이 아니어서 지원자가 없다”며 “2년 계약직보다는 아무래도 안정적인 직업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대홍 전국공무원노조 광주본부 사무처장은 “같은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만큼 최저시급이 아닌 각 지자체에서 시행된 생활임금에 맞춰야 재공고 현상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임정호 기자 ljh441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