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국회 본청 민주당 당대표 회의실에서 출범한 호남발전특위는 한마디로 여당 상설기구로 호남 발전의 지렛대이자 당·정 핫라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는 국정철학과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호남 보듬기’ 전략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활동이 기대된다.
호남발전특위는 서삼석 의원이 위원장, 광주 이병훈 전 의원, 전남 김성 장흥군수, 전북 이원택 의원이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호남권 3개 광역지역별로 15명 안팎의 정치인과 지자체장, 현장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 풍부한 입법·행정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40여명으로 구성된다.
권역별 핵심 현안과 숙원사업에 대한 구체화된 전략과 실현 방안, 프로젝트 완성을 위한 선결과제 등을 집중 논의한다고 한다. 이후 이르면 올 연말 안으로 집약된 보고서를 작성해 당 지도부를 통해 대통령에게 정식 건의할 계획이라고 한다.
호남발전특위는 지역 현안인 대통령 공약이나 국정과제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높다. 권역별 핵심현안의 상당수가 이들 사업과 겹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광주는 인공지능·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등이 우선 과제고, 전남은 신재생에너지 허브 조성과 국립 의대 설립 등이 핵심 현안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민주당이 지난 2016년 발족한 ‘호남비전위원회’ 정도의 활동만 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시 20대 총선에서 호남 1당을 안철수가 이끈 국민의당에 내준 위기감속에 발족한 호남비전특위는 그해 열린 정기국회에서 호남 현안사업 예산을 국회에서 증액하고, 지역 인사들은 당직에 배려했다고 성과를 홍보하는 데 그쳤다.
또 위원수가 너무 많아 합일점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쉽지 않고, 자칫 민원 창구로 악용되거나 균형감, 합리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호남발전특위는 당내 다른 위원회와 차별화된 전략과 변별력 있는 활동을 통해 이같은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호남을 발전시키는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