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도의회 최선국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1)은 9일 열린 제39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목포 앞바다가 더 이상 영산강 쓰레기 처리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도 차원의 선제적 대응을 촉구했다.
최 의원은 “최근 집중호우로 영산강 하구둑 수문이 개방되면서 약 1600t에 달하는 해양쓰레기가 목포항으로 밀려와 항만이 마비되고 어민과 시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며 “이 같은 상황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양수산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해양쓰레기의 65.3%가 육상에서 발생하며, 상당수는 하천을 따라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최 의원은 “상류에서 발생한 쓰레기 피해를 목포와 같은 하류 연안 지역이 떠안고 있는 구조”라며 “‘원인자 책임 원칙’이 전혀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금까지 국비 지원과 지자체 협약을 통한 사후 수거에 의존해 왔다며 “매년 수십억 원의 예산을 단순 수거가 아니라 원인 차단 기술 개발과 예방 체계 구축에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AI·IoT 기반 모니터링, 스마트 차단막, 현장 처리 기술 등 과학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도입과 함께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참여하는 통합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했다.
최 의원은 “바다는 어민의 삶터이자 관광객의 쉼터이며 우리 아이들에게 물려줘야 할 소중한 자연유산”이라며 “목포 앞바다가 더 이상 영산강 쓰레기의 종착지가 되지 않도록 전남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