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은 2007년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개항했지만, 불과 40km 거리에 광주공항이 존치되면서 항공수요가 분산되고 국내선 연계가 끊겨 ‘국제선만 있는 반쪽 공항’으로 전락했다. 그동안 민간공항 이전 논의는 군공항 이전 문제에 막혀 10여 년 넘게 답보 상태에 놓여 있었다.
전남도는 이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을 제시했다. 2023년 5월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담화문’을 통해 통합 이전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공식화했고, 같은 해 12월엔 3조 원 규모의 ‘무안 미래발전 비전’을 선포하며 주민 설득과 공론화에 나섰다.
도는 통합이전과 연계해 무안국제공항을 동북아 관문공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기반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활주로 연장과 여객청사 확충, 정기노선 지원, 무비자 입국제 시행 등 인프라 개선을 병행하고, 호남고속철도(KTX) 2단계 공항 정차역 개통과 연계한 공항 접근성 개선에도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직접적인 지시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광주·전남 타운홀미팅에서 “군공항 이전은 국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하며 대통령실 주관의 6자 협의체(TF) 구성을 지시했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으로 멈춰 있던 논의가 국가 주도형 협력체계로 재편된 것이다.
여론의 변화도 뚜렷하다. 최근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무안군민의 53.3%가 통합이전에 찬성한다고 응답, 처음으로 과반을 넘어섰다. 신산업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전남도는 이 같은 분위기를 바탕으로 무안군이 제시한 ‘광주 민간공항의 KTX 개통 전 선 이전’, ‘광주시의 1조 원 지원 보장’, ‘국가 차원의 획기적 지원책 마련’ 등 세 가지 조건이 6자 협의체에서 최우선 논의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광주시와 긴밀히 협의할 방침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 ‘민주당이 호남에 진 빚을 갚겠다’는 마음으로 직접 나서고 있는 만큼, 이번이 무안국제공항을 살리고 전남·광주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마지막 황금 같은 기회”라며 “도민과 무안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책이 마련되도록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앞으로 공항 통합이전이 무안국제공항을 넘어 서남권 균형발전의 촉매제가 될 수 있도록 주민 소통, 공론화,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정부와 국회에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 건의할 계획이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