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19일 발간한 JNI 이슈리포트 ‘지방외교시대, 전라남도 공공외교 생태계 확대 방안’에서 전남 공공외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5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중앙정부의 공공외교 정책 기조와 발맞춰 전남 자체의 외교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리포트는 먼저 공공외교 추진 기반의 정비를 우선과제로 꼽았다. 전남도와 출연기관, 대학, 민간단체를 연계한 민·관·학 협력형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전남도 국제교류재단(가칭)과 같은 전담기관 설립, 공공외교 전문가 풀(Pool) 구축 등을 통해 정책의 일관성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남 고유의 지역 자산을 활용한 공공외교 콘텐츠 확대도 강조했다. 국제수묵비엔날레를 비롯해 해양·생태·농업·어촌 문화 등 지역 자원을 관광·투자·문화 확산으로 연계하는 융복합 사업으로 발전시키고, ‘세계 호남인의 날’(10월 4일)을 제도화해 해외 호남인 네트워크를 글로벌 협력 파트너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기본계획에서 디지털 공공외교 강화가 핵심 방향으로 제시된 만큼, 메타버스·SNS·VR·AR 등 뉴미디어 기반 비대면 외교 채널 구축도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연구원은 “전남 주요 공공외교 사업을 디지털 플랫폼과 연계해 누구나 참여 가능한 개방형 외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공공외교 추진을 위한 조례 제정, 종합 시행계획 수립, 안정적 예산 확보 등 제도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추진체제 정비’를 담은 제3차 기본계획과 연계해 전남도 차원의 법·제도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슬아 전임연구원과 심미경 글로벌정책센터장은 “전남이 공공외교의 중심축으로 성장하려면 단순한 해외 교류를 넘어 정책 기반·디지털 기반·개발협력·시민참여가 결합된 구조적 생태계를 갖춰야 한다”며 “민·관·학 협력과 제도 정비를 통해 전남만의 공공외교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9 (수) 17: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