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한-믹타 정상회동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연합) |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 국빈방문을 앞두고 이날 공개된 튀르키예 아나돌루 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통일은 여전히 우리의 최종 목표이며, 단순한 이상(理想)이 아닌 헌법에 명시된 책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 정부는 (일방적 통일이 아닌)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발전을 통해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통일을 서두르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겠다는 뜻으로 이 대통령이 그동안 주장해 온 ‘흡수통일 불가’ 입장과도 결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지난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한다”며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한반도에서 평화 공존과 공동 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자 한다”며 지난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언급한 북한 비핵화 전략인 ‘E.N.D.(교류·Exchange, 관계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 이니셔티브’를 다시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현재 (남북 간) 모든 소통 채널이 차단되고 신뢰가 훼손되는 등 한반도는 중대한 난관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대화 재개가 저의 최우선 과제”라며 “어떤 채널을 통해서든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평화를 위한 필수 동반자인 미국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평화의 중재자’ 역할을 요청했고, 저 자신은 ‘평화의 촉진자’로 북미대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튀르키예와의 협력 방안을 설명하며 원전 사업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 기업의 튀르키예 시놉 원전 프로젝트 참여와 관련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세계적인 수준의 한국 원전 기술과 안전한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튀르키예의 원자력 발전 역량 제고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은 아랍에미리트(UAE)의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등 지난 20년간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실적을 쌓았다”며 “정해진 기간과 예산 안에서 사업이 추진되도록 하는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국방·방산 분야 협력을 강조하며 “튀르키예는 무인기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고, 한국은 전차·자주포 등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말했다.
특히 “한국과 튀르키예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함께 싸운 형제이자 피로 맺어진 형제 국가”라며 “그간의 경험을 토대로 협력의 범위를 에너지, 바이오·헬스,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 등 미래 산업들로 넓혀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24 (월) 04: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