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조사’ 확대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농어촌공사,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조사’ 확대

농업용 저수지 등 1053곳 연 7회 수질 조사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업용수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올해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조사’를 확대한다고 29일 밝혔다.

공사는 조사 범위와 항목, 횟수를 강화해 촘촘한 수질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는 1990년부터 ‘국가 물환경측정망’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 조사는 농업용 저수지와 담수호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조사 결과는 농업용수 수질관리와 오염 대응은 물론,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공사는 수질 조사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조사 범위와 항목 등을 확대해 오고 있다. 올해에는 지난해 975개소에서 78개소 늘어난 1053개소에 대해 수질 조사를 시행하며, 연 4회 진행하던 정기 조사는 연 7회로 확대했다.

특히 중금속에 대한 조사를 대폭 강화했다. 연 1~2회에 그쳤던 조사를 연 4회로 확대해 카드뮴, 납, 비소 등 인체와 농작물에 유해한 물질을 조기에 탐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공사는 수질측정망 조사 외에도, 공사와 지자체 등이 관리하는 저수지와 담수호 1만7000여개소에 대한 수질 조사를 병행한다. 이러한 다층적 조사 체계는 오염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고,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김이부 농어촌공사 환경관리처장은 “더욱 촘촘해진 수질 조사 체계는 단순한 수질 모니터링을 넘어, 오염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용수 이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부동산 불황에 분양시장 ‘멈춤’…거래는 반짝 회복
- [만년필]‘매의 눈’ 택시기사…보이스피싱범 검거
- 광주 서구 상무국민체육센터 샤워실 악취 진동…불편 속출
- 사람과 협업하는 세계최고 성능 AI 파지 로봇 개발
- ‘정부 비밀펀드 투자’ 173억 사기범 징역 12년
- 광주 서구, 청렴 공직문화 조성 나선다
- 공군 1전비, ‘제46회 스페이스 챌린지’ 개최
- 광주 북구, 주민참여예산 ‘셀프 심사’ 사라진다
- 광주 남구, 기독병원 ‘치매안심센터 협약병원’ 지정
- SKT 유심, 중고마켓에 15만원 판매 글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