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송변전 설비 확충에 72조8000억 투입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한전, 송변전 설비 확충에 72조8000억 투입

호남~수도권 HVDC 계통 재구성 등 11차 계획 확정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10GW 공급…생산유발 134조

한국전력이 15년간 72조8000억원을 들여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10GW 규모의 전력을 공급한다.

한전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제312차 전기위원회에서 확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11차 전기본)’의 전력수요와 발전설비 전망을 바탕으로 2024~2038년 15년간 적용되는 송·변전설비 세부계획이다.

세부계획을 보면 호남-수도권 초고압 직류 송전(HVDC)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계통을 재구성하고,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전력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 인프라를 확충한다.

호남-수도권 HVDC는 현재의 전압형 HVDC 기술 수준(단위 최대용량 2GW), 변환소 부지확보 및 배후계통 보강여건 등을 고려해 기존 4GW급 2개 루트(2036년 준공)를 2GW급 4개 루트(2031년, 2036년, 2038년 단계별 준공)로 변경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필요한 10GW 이상 대규모 전력을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산단 내 변전소 신설, 기존 전력망과의 연계 등의 설비계획도 포함됐다.

또한 기존에 추진 중인 하남시와 당진시의 전력망 구축 사업도 건설지연 및 계통여건 변경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준공 시기를 조정했다.

이번 계획에서는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및 ESS-STATCOM 등의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신기술 설비도 도입하기로 했다.

한전은 이번 설비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38년까지 72조8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자재비 상승, 지중송전선로 증가 등이 원인으로 10차 계획(56조5000억원) 대비 16조3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송변전설비는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필수설비인 만큼 한전은 설비투자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차질없이 확충·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이번 설비계획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생산 파급 약 134조원, 고용 유발은 약 48만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한전은 지난 2월 제정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건설사업 추진 동력을 높이고, 주민친화형 변전소 확대와 중립적 전자파 관리체계 구축으로 전력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여 전력망을 적기에 건설할 계획이다.

또한 11차 전기본에 반영된 대형 원전 등 신규 발전소의 입지가 확정되면 최적의 계통구성방안을 수립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ESS 중앙계약시장 물량이 전력계통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28일 오전예보]구름많음, 당분간 일교차 커
- [부고] 이세영(한국전력 홍보처 차장)씨 부친상
- 마지막도 진흙탕…생중계 토론서 원색적 네거티브까지 등장
- ‘김도영 부상 날벼락’ KIA, 키움전 승리에도 웃지 못했다
- "올해는 매력 넘치는 ‘완도 방문의 해’"
- [제54회 전국소년체전 폐막] 스포츠 꿈나무들의 열정, 지역 빛냈다
- ‘2025 광주다움스포츠클럽 양궁 자체대회’ 성료
- ‘아시아 정원’ 거닐며 자연과 예술 느껴볼까
- 봄날과 어울리는 로맨틱 오페라 ‘사랑의 묘약’
- 국립남도국악원, ‘하계 교원직무연수’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