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개선’…대중교통혁신회의 출범
검색 입력폼
자치

‘준공영제 개선’…대중교통혁신회의 출범

광주시·의회·노조 등 참여…도시철도 정책도 마련

광주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구조적 문제와 재정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가칭 ‘대중교통 혁신회의’가 출범한다.

1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의회·노조·운송조합(사업주)·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을 위한 대중교통혁신회의가 오는 21일 진행될 계획이다.

첫 회의에서는 상견례와 함께 노사상생·노선혁신 등 분과위원 선정, 과제 수립, 추후 일정 등을 조율한다.

회의는 노사상생분과, 재정혁신분과, 노선혁신분과, 버스행정분과 등 4개 분과로 운영된다.

‘노사상생분과’는 버스 파업 종료 합의에 따른 운수종사자 임금 인상 및 처우 개선을 협의하며, 오는 8월까지 결론을 낸다는 방침이다.

‘재정혁신’은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노선혁신’은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노선 재편 방향 등을 다룬다.

‘버스행정’은 친절 서비스 개선, 저상버스 수급 안정화 등을 과제로 삼는다.

혁신회의의 최고 쟁점은 버스준공영제가 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지난 2006년부터 버스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다. 광주지역 시내버스 회사는 총 10개사이며 1000여 대 버스를 2400여 명의 운전기사가 운행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버스 파업의 근본적 원인이 준공영제에 대한 사측과 노측의 불신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혁신회의를 통해 준공영제의 개선 방향을 수립할 것”이라며 “아울러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정책 방향도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불황 이기는 ‘덕후 소비’…‘굿즈숍’ 쇠퇴상권에 단비
- 균형성장특위, 국회서 '5극3특 국가균형성장간담회' 열어
- 하남산단 지하수에 발암물질…알고도 2년간 방치
- "도로 폭 좁아 잦은 접촉사고…일방통행 변경을"
- 광주·전남 19일까지 최대 80㎜ 비
- 조선대병원 수술실 이틀째 운영 중단
- 광주 남구,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 추진
- 금속노조 16일 총파업…"노조법 개정을"
- 나홍원 광주 광산소방서장, 송정역 명예역장 위촉
- "광주 동명동 감성 카페서 커피 즐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