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건물 운영 주체는?…정부가 맡아야"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옛 전남도청 건물 운영 주체는?…정부가 맡아야"

제2차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 개최
2026년 5월 개관…ACC·문체부·행안부 놓고 ‘이견’

29일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열린 제2차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
내년 5월 개관을 목표로 복원 중인 옛 전남도청 건물의 운영 기관을 놓고 지역 사회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는 29일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제2차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민간보다는 정부에서 운영을 주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았지만, 세부 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문체부의 별도 기관, 행정안전부 등으로 의견이 갈렸다.

류재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회장은 “옛 전남도청과 아시아문화전당 운영을 분리하면 전당이 일반 문화시설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전당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밝혔다

류 회장은 “전남도청은 전당의 핵심 콘텐츠이자 기반 시설로, 전남도청이 없었다면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광주에 조성할 이유도 없었을 것”이라며 “역사 보존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두루 녹여내는 방향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5·18 단체 관계자들은 본연의 가치를 보존·계승하기 위해 전당과 옛 전남도청의 운영 주체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홍성칠 복원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전당에서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불리는 옛 전남도청을 제대로 운영한 적이 없다. 초창기에 원형이 훼손돼 복원에 들어갔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행정적으로 분리해 운영해보자는 것이고 전당과 어떻게 협업해서 시너지를 얻을지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공휴 5·18부상자회 총무국장은 “전당이 옛 전남도청 별관에 전시하면서 내부를 훼손했고 오월 어머니들이 수년간 투쟁해 복원하게 됐는데 다시 전당에 운영을 맡기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며 국가폭력 대응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의 운영을 제안했다.

옛 전남도청이 역사 보존·전시·교류·교육 등 기능을 잘 수행하고 독자적 위상과 인력·예산 확보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문체부 내 독립된 별도 기관에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광주시는 지역사회의 의견을 존중해 어떤 주체가 결정되더라도 적극 협력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운영 주체와 더불어 직제와 인력 확보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이기훈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장은 “10년 전 전당 출범 당시 인력은 지금의 절반도 안 됐다. 복원 건물을 활성화하고 제대로 운영하려면 직제 구성과 전문 인력 확보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김다경 기자 alsqlsdl94@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